PUKYONG

낙동강 보 설치구간의 부영양화 관리를 위한 인공습지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rea estimation of artificial wetland for eutrophication control in Nakdong River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ophic state of Nak-Dong River for eutrophication management and deducted limiting foctor. When managed the eutrophication by the artificial wetland, the calculated artificial wetland w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eutrophication between Gu-mi dam and Ham-an dam in construction site of the dam of the Nakdong river was higher than other sites. So required area of artificial wetlands for Geum-ho river and Gam stream were 21,959 ha, 7296 ha, respectively. which is 34%, 8% of total watershed area.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 artificial wetland. So when applying discharge water of environment fundamental facilities, the required areas of Geum-ho river and Gam stream were 1940 ha, 179 ha, respectively , which is 3%, 0.2% of total watershed area.
Author(s)
조하나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인공습지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95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839
Alternative Author(s)
Cho, Ha Na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태공학과
Advisor
이석모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부영양화 3
2. 부영양화의 관리를 위한 N, P의 저감 4
가. 관리기술의 종류 4
나. 인공습지를 이용한 N, P의 저감 5
3. 국내외 사례 10
가. 국내 주요 인공습지 사례 10
나. 국외 주요 인공습지 사례 16
Ⅲ. 연구방법 18
1. 부영양화 평가 18
가. 부영양화 평가 대상지점 18
나. 영양단계 평가기준 20
2. 인공습지 면적 산정 방법 21
가. 습지면적 산정을 위한 회귀모형 21
나. 면적산정공식 23

Ⅳ. 결과 및 고찰 25
1. 영양단계 평가 25
가. 수질농도 25
나. 부영양화 판정 30
다. 부영양화 관리를 위한 제한인자 도출 32
2. 부영양화 관리 대상구간 설정 34
3. 인공습지 규모 산정 37
가. 처리대상 유입수 특성 37
나. 습지면적산정을 위한 입력자료 40
다. 인공습지 면적산정 45
Ⅴ. 결론 48
참고문헌 5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생태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