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낙동강 수계 내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성상 및 거동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haracteristics and fate of refractory organic matter in the Nakdong River
Abstract
모든 지표수와 지하수에 함유된 다양한 유기화합물은 수체내부와 수체 주변의 수계에서 생물학적인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러한 유기화합물과 인간 활동의 결과로 수체에 유입되는 유기화합물을 총체적으로 용존 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이라 부른다. DOM은 유기물질의 총체로서 일반적으로 토양내의 유기물로부터 유출되거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오염을 통해 수계에 존재하게 된다.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유역의 투수율이 감소하여 비점오염원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점오염원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발생특성 및 부하량 등에 대하여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지난 수십 년간의 도시화에 따라 유역의 투수율이 감소하여 비점오염원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유입이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아지고 있다.
낙동강은 각종 수질개선 사업 이후 전반적인 수질은 다소 개선되었다고 하나 BOD와 COD로 측정된 유기오염물질의 농도는 거의 변동이 없거나 계절별, 지역별에 따라서는 오히려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낙동강의 유기물 오염물 지표로서 BOD와 COD의 농도 변동을 고려 해보면 유역 내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등으로 생분해성 유기물질은 어느 정도 관리는 되고 있으나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처리 및 관리는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비점오염원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낙동강 수계 내 난분해성 유기오염원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수질환경관리 평가를 위한 환경 기준 항목으로는 BOD와 COD 지표항목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수체 내 난분해성 유기물의 증가에 따라 효과적으로 수질을 관리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중의 유기물 총량을 대표하는 TOC나 DOC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수계 내에 존재하는 용존 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은 생지화학적(biogeochemical) 과정의 결과로서 DOM과 관련된 예로서 수계 내 수문현상의 변화는 하천 내부의 유기물질의 양 뿐만 아니라 그 특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수계내에서의 DOM과 관련된 다양한 기원과 변화과정을 이해한다는 것은 매우 복잡한과정이지만 향후의 체계적인 수질관리에 중요하다.
수계 내 유기물질 저감과 관리는 수질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며, 용존 유기물질(DOM)의 성상별 특성을 통하여 효율적인 DOM의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Author(s)
박주희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DOM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95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746
Alternative Author(s)
Park, Ju Hee
Affiliation
환경공학과
Department
대학원 환경공학과
Advisor
강임석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 1 장 서론 1

제 2장 문헌연구 3
2.1 용존 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 3
2.1.1 용존 유기물질의 분류 6
2.1.2 용존 유기물질의 구조적 특성 9
2.2 용존 유기물질의 성상별 분류방법 13
2.2.1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분류 13
2.2.2 분자량 분포특성에 의한 분류 17
2.2.3 13C, 1H-NMR spectroscopy 19
2.2.4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21
2.2.5 Elemental analysis 22
2.2.6 Fluorescence spectrometry 23
2.2.7 Pyrolysis GC/MS 25
2.2.8. UV흡광도에 의한 분류 26
2.2.9 생물학적 분해도에 따른 분류 28

제 3 장 재료 및 방법 33
3.1 수질분석 방법 33
3.1.1 DOC (Dissolved Organic Carbon) 33
3.1.2 UV254 (UV 254 nm absorbance, ㎝-1) 33
3.1.3 Specific UV Absorbance (SUVA : UV254/DOC ratio) 34
3.2 DOM 성상별 분류 35
3.3 난분해성 용존 유기물 분석 38
3.4 기원별 유기물 시료 채취 및 추출 40

제 4 장 결과 및 고찰 41
4.1 낙동강 수계 기초 수질 분석 41
4.1.1 낙동강 본류 기초수질 분석 42
4.1.2 낙동강 수계 내 지천 기초수질 분석 47
4.2 낙동강 수계 용존 유기물의 성상 변화 및 특성 51
4.2.1 낙동강 수계 용존 유기물의 성상 분포 51
4.2.2 낙동강 수계 배양 전․후 난분해성 성상 변화 54
4.3 난분해성 기원별 용존 유기물의 성상 변화 및 특성 60
4.3.1 환경기초시설 용존 유기물의 성상분포 60
4.3.2 환경기초시설 FTIR 분석 66
4.3.3 유기물 기원 시료의 유기물 성상 분포 68
4.3.4 유기물 기원 시료의 FTIR 분석 70
4.4 유기물 시료 특성에 따른 장기 생분해 후 성상 변화 72

참고문헌 81

부 록 8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환경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