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에 나타난 동양적 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Oriental Characteristics in Mies van der Rohe's Architecture: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Mies'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Oriental Thoughts
Abstract
본 연구는 미스의 건축에 나타난 동양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사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서양에서는 동양사상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당시, 미스, P. 베렌스, H. P. 베를라헤, F. L. 라이트 그리고 H. 헤링 등과 같은 많은 예술가들을 포함한 서구의 많은 지성인들은 동양에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영향과 함께 중요한 점은, 미스는 슈바르츠, 과르디니, 셸러 그리고 화이트헤드의 ‘통일’개념에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사상들이 유기적 전체성으로서의 세계관을 지닌 동양의 사상과 유사하다. 한마디로, 보편적 사상은 보편적 공간과 동양적 색채와 같은 미스의 건축 사상의 공통분모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내 외부의 통일, 시공간의 연속성 그리고 사람과 자연의 조화는 그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the Oriental characteristics shown in Mies van der Rohe' architecture. In fact, it is not to say that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interest in the Oriental thoughts as well as Cultures had increased in the West. At that time, the Orient in itself had gotten attention by a lot of Western intellects including many artists such as Mies, P. Behrens, H. P. Berlage, F. L. Wright and H. Haring etc. Importantly along with the influence, Mies had been greatly influenced by R. Schwarz, R. Guardini, M. Scheler and A. N. Whitehead as the thoughts of a unity. More significantly in this respect, those thoughts are akin to that of the Orient possessed the world-view as an organic whole. In a word, which universal ideas are a common denominator that forms Mies’ ideas, ‘universal space’ and Oriental overtones in his works. That is to say, the ‘unity’ of the inner and the outer, the continuity of space-time and the harmony of human and nature are commonly found in his works.
Author(s)
지석우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미스 반 데어 로에 통일 개념 동양사상
Publisher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89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837
Alternative Author(s)
Ji, Seok Wo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오장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범위 3
Ⅱ. 시대적 상황과 건축적 배경들 5
2.1 19~20세기 동양사상에 대한 서양의 관심 5
2.2 근대지향의 서양건축에서 동양의 역할 11
2.2.1 아르누보 11
2.2.2 W. 칸딘스키와 P. 몬드리안 14
2.3 미스와 조우한 건축가들에게서 발견되는 동양 15
2.3.1 P. 베렌스 15
2.3.2 F. L. 라이트 18
2.3.3 H. P. 베를라헤 22
2.3.4 H. 헤링 24
2.3.5 소결 26
Ⅲ. 미스의 사상적 배경과 동양사상 27
3.1 미스의 건축적 주제에서 ‘정신적인 것’의 역할 27
3.2 미스의 철학적 배경과 동양사상과의 상관성 34
3.2.1 R. 슈바르츠와 R. 과르디니 36
3.2.2 M. 셸러와 중세 철학 40
3.2.3 A. N. 화이트헤드 43
3.2.4 소결 46
Ⅵ. 미스 건축의 동양적 특성 47
4.1 미스 건축에서 나타나는 ‘통일’개념 47
4.2 미스의 ‘통일’개념의 건축적 표현 51
4.2.1 바르셀로나 파빌리언 51
4.2.2 투겐타트 주택 55
4.2.3 베를린 건축박람회 주거관 59
Ⅴ. 결론 62
참고 문헌 64
Abstract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건축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