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베트남 남부 해역 Nam Con Son 분지의 가스전 탐사자료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eismic and well-log data analysis for a gas field in the Nam Con Son Basin, offshore southern Vietnam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남중국해, 베트남 남부 해역 Nam Con Son 분지의 가스전에서 취득된 2차원 탄성파 자료와 시추공 물리검층 자료를 분석하여 4개(H1-H4)의 주요 저류층의 구조도을 완성하고 이 저류층을 순차층서학적으로 해석하였으며 탄성파 역산으로 물성을 유추하였다. 주요 저류층인 초기 마이오세 Dua 층과 후초기-초중기 Thong 층은 전체적으로 동쪽으로 경사를 이루어 동쪽에서 침강이 우세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단층 주변에서 지층의 두께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은 것은 단층이 주로 퇴적후에 발생하였음을 지시한다. 탐사시추의 경우 탄성파 역산과 탄성파 속성변환으로 확인되는 주요 저류층의 sweet spot을 벗어나 위치하고 있다.
감마선 물리검층 자료로부터 H2-H3 구간에서 9개(S1-S9)의 4th-order층을 확인하였는데 층의 경계는 하도를 따라서 뚜렷한 침식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하도에서 멀어지면서 고해수면 퇴적계군의 상부면 또는 해침 퇴적계군의
하부면과 일치한다. 최대 해퇴면은 저해수면 퇴적계군의 상부면과 일치하며 높은 감마선값을 보이는 최대 해침면은 해침 퇴적계군의 상부면과 일치한다. S1, S4, S6, S8은 하도에 퇴적된 저해수면 퇴적계군을 포함하고 있다. S2, S7, S9은 해침 퇴적계군과 고해수면 퇴적계군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하도와 하도 사이의 지역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S3와 S5는 해침 퇴적계군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고해수면 퇴적계군이 퇴적되지 않았거나 침식된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S1-S8은 상향 세립화를 보이는 3rd-order의 층을 구성하고 있다.
Author(s)
이이슬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Nam Con Son 분지 탄성파 역산 복수 탄성파 속성 변환 순차층서
Publisher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00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68
Alternative Author(s)
Lee, Yi Seul
Affiliation
부경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에너지자원공학과
Advisor
이광훈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2. GEOLOGIC SETTING 5
3. STRATIGRAPHIC FRAMEWORK 8
4. FIELD SUMMARY 11
5.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12
5.1. STRUCTURE MAPPING 11
5.2. INVERSION 23
5.3. MULTI-ATTRIBUTE ANALYSIS: PREDICTING LOG PROPERTIES 25
5.4. SPECTRAL DECOMPOSITION 30
5.5. WELL-LOG INTERPRETATION 34
6. SUMMARY 41
7. RERERENCES 4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에너지자원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