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학과 내용중심영어교육에서 교사유형이 수학 및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EACHER TYPES ON THE MATH AND ENGLISH ACHIEVEMENT THROUGH MATH CONTENT-BASED INSTRU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eacher Types on the Math Achievement and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Math Content-Based Instru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In the study, I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third, fourth, and fifth grade math and English test scores before any preparations, during study, and after students had been taught the material through a contents-based instruction method. The scores were studied between two groups, Group A and Group B. Prior to instruction, the two groups were tested and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had similar math and English ability. The groups were comparable. During the course of the contents-based instruction, students were tested again. No differences in the significance level were found amongst third graders in either group. In fourth graders of both groups, there was an increase of score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fifth graders, the results were different based on subject matter. There was an increase in scores for both English and math exams; however, it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ath exam. After the students received the full instruction they were tested again. In third grade, again, there does not seem to be a difference in the significance level. However, in fourth and fifth grade of both math and English exams, the scor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tents-based instruction.
Author(s)
명은정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학업성취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초등영어교육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03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62
Alternative Author(s)
Myung,Eun J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조윤경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과제 3
1.3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2.1 내용중심 영어교육 5
2.1.1 내용중심 영어교육의 정의 5
2.1.2 내용중심 영어교육의 유형 7
2.2 한국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 내용중심 영어교육의 사례 11
2.2.1 영훈초등학교 12
2.2.2 센텀초등학교 13
2.3 초등학교에서의 내용중심 영어교육의 구성 및 운영 14
2.4 선행 연구 15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8
3.1 연구 참여자 18
3.2 연구 도구 및 연구 절차 18
3.2.1 사전 검사 18
3.2.2 교사 유형별 수업 19
3.2.3 사후 검사 19
3.3 자료 분석 19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21
4.1 학년별 영어 및 수학 진단평가 결과 21
4.1.1 3학년 진단평가 비교 결과 21
4.1.2 4학년 진단평가 비교 결과 23
4.1.3 5학년 진단평가 비교 결과 25
4.2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영어 학업성취도 비교 28
4.2.1 3학년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영어 학업성취도 비교 28
4.2.2 4학년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영어 학업성취도 비교 29
4.2.3 5학년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영어 학업성취도 비교 30
4.3 영어과 학업성취도 향상도 비교 30
4.3.1 3학년 영어과 사전, 중간, 사후 평가 결과 비교 30
4.3.2 4학년 영어과 사전, 중간, 사후 평가 결과 비교 33
4.3.3 5학년 영어과 사전, 중간, 사후 평가 결과 비교 36
4.4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비교 39
4.4.1 3학년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비교 39
4.4.2 4학년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비교 40
4.4.3 5학년 전담교사반과 담임교사반의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비교 41
4.5 수학과 학업 성취도 향상도 비교 41
4.5.1 3학년 수학과 사전, 중간, 사후 평가 결과 비교 41
4.5.2 4학년 수학과 사전, 중간, 사후 평가 결과 비교 44
4.5.3 5학년 수학과 사전, 중간, 사후 평가 결과 비교 47


Ⅴ. 결론 및 제언 50
5.1 연구 과제별 결론 50
5.1.2 연구 과제 1의 결과 50
5.1.2 연구 과제 1의 결과 53
5.2 제언 57

참 고 문 헌 58

부록
1.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교육 교수-학습 모형 61
2. 3학년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교육 연간지도 프로그램 62
3. 5학년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교육 수업 지도안 1 66
4. 5학년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교육 수업 지도안 2 74
5. 5학년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교육 수업 지도안 3 83
6. 3학년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교육 수업 지도안 8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