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 조간대에서 열 플럭스와 CO2 플럭스의 특성
- Alternative Title
- Characteristics of heat and CO2 fluxes on a tidal flat in Suncheon bay, Korea
- Abstract
- 조간대에서 지표면이 침수되었을 때는 대기와 해수면이 접하게 되고, 지표면이 노출되었을 때는 대기와 퇴적물 표면이 접하게 되므로 조석에 따라 대기와 표면 사이의 운동량, 열, 온실기체 등의 교환 활동이 달라진다. 조간대에서 계절 변동, 일 변동에 대해 운동량, 열, 기체 물질의 변동 특성이 조사되었지만 하루 중 조석에 의한 지표면의 변화에 따른 운동량, 열, 기체 물질의 변동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조간대에서 운동량, 열, 기체 물질의 변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에 위치한 순천만 갯벌에서 2009년과 2010년에 걸쳐서 총 5회 관측을 수행하였다.
조간대에서 운동량 플럭스는 지표면의 변화에 관계없이 풍속의 크기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정도는 지표면이 침수되거나 노출되었을 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주간에는 지표면의 가열에 의해 불안정했고, 야간에는 지표면의 냉각에 의해 안정하게 나타났다. 순복사의 일 변동에서는 지표면의 변화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주간에 순복사의 평균은 가을과 겨울에 각각 303.8, 219.5 W m-2 였다. 현열 플럭스와 잠열 플럭스는 주간에 지표면이 침수되었을 때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했고, 주간에 지표면이 노출되었을 때 증가했다. 조간대에서 현열 플럭스와 잠열 플럭스의 열 수지를 계산한 결과, 현열 플럭스는 순복사의 2∼11 %를 차지하였고, 잠열 플럭스는 순복사의 3∼26 %를 차지하였다. CO2 농도는 지표면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지 않았고, 일 변동에서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CO2 는 주간에 지표면이 침수되었을 때 해수에 적게 흡수되었고, 주간에 지표면이 노출되었을 때 갯벌에 많이 흡수되었다.
- Author(s)
- 김박사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조간대 (tidal flat) 열 플럭스 (heat flux) 이산화탄소 플럭스 (CO2 flux)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04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40
- Alternative Author(s)
- Park Sa Kim
- Affiliation
-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dvisor
- 권병혁
- Table Of Contents
- Contents i
List of Tables iii
List of Figures iv
Abstract viii
I. Introduction 1
II. Surface Layer on the Tidal Area 6
III. Observation 10
1. Observation site and period 10
2. Instrumentation 13
2.1. Net radiometer 15
2.2. Three-dimensional ultrasonic anemometer 17
2.3. Open Path CO2/H2O analyser 19
IV. Analysis method 21
1. Energy balance 21
2. Eddy correlation method 23
3. Bulk transfer method 24
V. Results and Discussion 26
1. Variations of momentum flux and stability 26
1.1. Momentum flux 26
1.2. Stability 32
1.3. Comparison of stability and friction velocity 34
2. Variations of heat flux 38
2.1. Net radiation 38
2.2. Sensible heat flux 40
2.3. Latent heat flux 51
2.4. Energy balance in a tidal flat 61
3. Variations of CO2 68
3.1. CO2 concentration 68
3.2. CO2 flux 73
VI. Conclusions 78
Reference 8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