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인먼트-체험중심교육의 개념을 적용한 영화체험박물관 학습매체에 대한 연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Abstract
- The mass media, which contain various and familiar excitement and response, have become efficient learning tools for children. In particular, the projected dynamic and colorful moving images rather than simple fairy tale books, that show static pictures, are suitable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study,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creation via active utilization of moving images was emphasized for the reason that children's emotional transition was often caused by the alteration of the mass media system.
The museum of films and moving images was designed and aimed specifically at the variety of participation and experiences. In these research, the notion of edutainment was integrated into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visual media. It covers deep appreciation of films, development of critical ability, and multi-communication through diverse moving pictures.
The attempt to form synthesized and systematic spaces for sensuous experience of films and projected images has made, and the reasonable results for suitabl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spaces were acquired.
- Author(s)
- 황상호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07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86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 Advisor
- 김명수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1-3. 연구의 진행 5
Ⅱ. 에듀테인먼트와 체험중심교육 6
2-1. 에듀테인먼트의 이론적 고찰 6
2-1-1. 에듀테인먼트의 개념 6
2-1-2. 에듀테인먼트의 교육적 기능 8
2-2. 놀이와 교육의 상관성 11
2-2-1. 놀이에서의 교육적 의미 11
2-3. 체험중심교육과 교육 개념 12
2-3-1. 체험의 의미 12
2-3-2. 체험중심 교육 13
2-4. 소결 15
Ⅲ. 영화영상매체와 체험중심교육 17
3-1. 영화영상매체의 일반적 고찰 17
3-1-1. 영화영상매체의 특성 18
3-2. 영화영상매체와 체험중심 전시 22
3-2-1. 체험전시 매체 23
3-2-2. 체험의 구성요소와 영화영상매체의 특성 29
3-3. 영화영상매체와 전시체험 프로그램 39
3-3-1. 영상미학교육 프로그램 40
3-3-2. 영상제작교육 프로그램 41
3-3-3.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 43
3-4. 소결 44
Ⅳ. 체험중심 개념을 접목한 영화체험박물관 학습매체 계획 47
4-1. 어린이 관련 체험 박물관 사례조사 47
4-1-1. 국립민속 어린이 박물관 47
4-1-2. 삼성 어린이박물관 49
4-1-3. 광주 디자인체험관 50
4-1-4. 사례분석 52
4-2. 영화체험 박물관 계획의 배경 및 특성 54
4-2-1. 부산 영화체험 박물관 계획 배경 54
4-2-2. 부산 영화체험 박물관 계획 특성 55
4-3. 전시체험 구성 및 계획 60
4-3-1. 전시 컨셉의 전개 60
4-3-2. 체험전시 공간계획 61
4-3-3. 전시 프로그램 및 전시매체 계획 66
Ⅴ. 결론 74
참고문헌 7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