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중학생의 학년과 영역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
- Alternative Title
-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Grade and Field
- Abstract
- 본 연구는 영역별 영재 중학생(언어 영재, 수학 영재, 과학 영재, 정보 영재)의 자아탄력성의 차이,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영재의 학년별, 영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재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는 영재의 학년별, 영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B광역시교육청이 운영하는 언어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원, 정보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언어영재 69명, 수학영재 70명, 과학영재 80명, 정보영재 86명으로 총 305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검사 및 진로태도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통계 패키지 SPSS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처리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척도별 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가 학년별, 영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영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중학생 자아탄력성의 학년별 차이를 다변량분산분석한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감정통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정통제에서 영재 중학생 3학년이 1학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재 중학생 자아탄력성의 영역별 차이를 다변량분산분석한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 중 활력성, 호기심, 낙관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cheffe의 사후검증결과, 활력성에서 수학영재가 정보영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호기심에서 과학영재가 언어영재, 정보영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낙관성에서 수학영재가 정보영재, 언어영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재 중학생 진로태도성숙도의 학년별 차이를 다변량분산분석한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결정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준비성을 제외하고 결정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에서 1학년이 3학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재 중학생 진로태도성숙도의 영역별 차이를 다변량분산분석한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변량분석 결과에서도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역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 하위요인, 즉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영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진로태도성숙의 하위 요인 중 목적성을 제외한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영재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는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감정통제를 제외한 대인관계, 활력성, 호기심, 낙관성에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Author(s)
- 박성희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영재 자아탄력성 진로태도성숙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08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91
- Alternative Author(s)
- Park, Seong Hee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 Advisor
- 황희숙
- Table Of Contents
- 목 차
목차 ⅰ
표목차 ⅱ
Abstract ⅲ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II. 이론적 배경 9
1. 영재성 9
2. 자아탄력성 27
3. 진로태도성숙 31
III. 연구 방법 41
1. 연구 대상 41
2. 측정 도구 43
3. 연구 절차 46
4. 자료 처리 및 분석 46
IV. 연구 결과 47
1. 영재 중학생 자아탄력성의 학년별, 영역별 차이 47
2. 영재 중학생 진로태도성숙도의 학년별, 영역별 차이 50
3. 영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 53
V. 논의 및 결론 55
1. 요약 55
2. 논의 57
3. 결론 및 제언 64
68
7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