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의 기본권 보호에 관한 연구
- Abstract
- ABSTRACT
A study on the Social Fundamental Rights of the Foreigner
Suh seok-won
Constitutional Law Dept. of Law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two approachs of studying about the human rights of aliens could be figured out. Of course, both are the same in the sense that the realization of human rights can not be achieved without the guarantee of state authority.
One approa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a nation´s sovereignty'. According to this, the discussion of human rights is limited to nationals and aliens are discussed only in terms of reciprocity. The other approach based on the natural rights of man suggests that the status of aliens should be guaranteed in accordance with their human worth and dignity.
The conventional view of the accepted theory stands in the position of the former with respect to alien's social fundamental rights, generally standing in position of the latter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freedom, so it has taken the dualistic attitude. But now is the era of immigration coming under the flow of globalization,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maintain such an attitude. Now that with the generalization of international norms of human righ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reedom rights and social fundamental rights has become relative, alien's human rights should be discussed from this point of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freedom rights and social fundamental rights, the value and role of the social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recognized as human rights. In other words, aliens should be recognized as subjects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The social fundamental rights are important ones which are the basis for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especially to the foreigner workers and marriage migrant women underprivileged in the country. This paper will discuss human rights abuses to foreigners living or staying in the country and seek to provide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about the social rights of the foreigner. Specific details of social rights of the foreigner will be treated as a matter of restrictions of the fundamental rights and accordingly I will argue some solutions for the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and the need for the state to protect them more actively.
- Author(s)
- 서석원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09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660
- Department
- 대학원 법학과
- Advisor
- 지규철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제2장 국제인권법의 발전과 외국인 5
제1절 서설 5
제2절 외국인의 인권에 대한 역사적 고찰 5
제3절 국제법상 외국인의 지위 8
1. 서언 8
2. 국제연합의 세계인권선언 9
3. 국제인권규약 11
4. 이주노동자권리협약 13
5. 국제노동기구 14
제4절 국제인권법의 국내적용 16
제3장 헌법상 외국인의 지위 21
제1절 서설 21
제2절 국민주권원리와 외국인 22
1. 국민주권원리의 발전 22
2. 국민주권원리와 외국인의 지위 24
⑴ 국민주권원리의 변용 24
⑵ 국민주권원리의 규범적 보호영역 25
3. 헌법상 국가의 책무 27
제3절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논의 28
1. 학설 28
⑴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인하는 견해 28
⑵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을 일부 긍정하는 견해 29
⑶ 기본권규정의 적용이 아니라, 준용이라는 견해 32
2. 헌법재판소의 태도 34
3. 검토 38
⑴ 외국인의 사회권적 기본권 주체성의 긍정 38
⑵ 자유권과 사회권의 구별의 상대화 40
⑶ 소결 41
제4절 외국인과 평등권 43
1. 서언 43
2. 외국인 차별과 관련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평등 심사기준 44
3. 헌법재판소의 평등위반여부 판단기준 47
제5절 국적 관련 실정법의 내용과 문제점 52
1. 국적법과 재외동포 관련 법률의 내용 53
2. 실정법상 몇가지 문제점과 대책 56
3. 헌법재판소 판례 59
⑴ 국적법 제2조 제1항 제1호 위헌제청 59
⑵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위헌확인 61
⑶ 입법부작위 등 위헌확인 64
제4장 외국인의 사회권적 기본권 67
제1절 서설 67
1. 사회권적 기본권의 의의 67
2. 사회권적 기본권의 연혁 68
3. 사회권적 기본권의 특성 69
제2절 사회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70
1. 학설 70
⑴ 객관설 70
⑵ 추상적 권리설 71
⑶ 구체적 권리설 71
⑷ R. Alexy의 원칙모델에 의한 권리설 72
2. 학설에 대한 검토 72
제3절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기본권 75
1. 우리나라의 외국인 근로제도의 현황 75
2. 불법체류 근로자의 문제 78
3.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3권 보장 80
4.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의 권리 83
제4절 외국인의 사회보장수급권 85
1. 외국인의 사회보장수급권의 보장 85
2. 현행 사회보장 관련 법제상 외국인 근로자의 지위 88
⑴ 사회보장기본법 88
⑵ 산업재해보상보험법 89
⑶ 국민건강보험법 90
⑷ 국민연금법 91
⑸ 고용보험법 93
⑹ 고용허가제도 4대 보험 93
제5절 기타 사회권적 기본권 94
1. 서언 94
2. 결혼이주 외국인과 관련한 법적 규제상 문제점 96
⑴ 국제결혼의 현황 96
⑵ 문제점 97
⑶ 관련판례 - 한중국제결혼절차 위헌확인 101
3. 가족결합권 103
⑴ 가족결합권의 의의 103
⑵ 고용허가제도 등의 문제점 104
제5장 결론 106
ABSTRACT 11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법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