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민 영어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의 교사자질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Comparative Study of Native English Teach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s' Quality and their Sense of Efficacy
- Abstract
-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의 교사자질 및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에 따라 어떠한지 알아보고 두 집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부산과 경남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영어전담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교사 91명와 한국인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설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교사의 개인적 배경, 교사 자질, 교사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도록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 분석한 연구결과 원어민 교사는 영어교사 자질 중 ‘기술적인 지식영역’, 일반적 교사자질 중 ‘수업의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중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자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인 교사는 영어교사 자질 중 ‘영어 교수학습 방법’, 일반적 교사자질 중 ‘평가의 역할’, 교사효능감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는 자질과 교사효능감에 대해서는 이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 방법은 교사자질과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 경력, 전공, 연수이수시간에 따른 교사자질과 교사효능감에 대해 연구해 보았는데 교사들의 영어교사자질과 교사효능감은 연령과 경력이 높고 연수이수시간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연령은 경력과 함께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영어교사의 교사자질과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력과 연수이수 시간의 변인을 고려해야한다. 원어민 영어교사는 단기 계약으로 끝나 반복적으로 경력이 짧은 교사들이 충원되지 않도록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인 교사도 본인의 적극적인 의지와 열정을 가지고 장기적으로 영어전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지닐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어교사 연수를 장기적·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elf-Evaluation about Teacher's Quality and Their Sense of Efficacy of Native English Teach and Korean English Teacher. A study has been performed with 95 korean teacher and 91 native teachers who are charge of teaching English at the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Kyong-nam province.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three parts to evaluate survey respondent's personal information, quality as a English teacher and a sense of teaching efficac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ative-speaking teachers were found to be better qualified in the technical knowledge area, whereas Korean teachers were found to be better qualified for 'English teaching-learning method.' As for general teacher qualifications, 'qualifications for the role performance in class' were found to be greater in native-speaking teachers, and 'the role of assessor' was found to be better qualified in Korean teachers.
Second, in case of native-speaking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qualification as English teacher and general teacher in terms of age, career, and number of hours in training. Korean English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qualification as English teacher and general teacher in terms of age, career, major, and number of hours in training.
Third, Comparing the teacher efficacy, 'self-control efficacy' was found to be higher in Korean teachers, while 'self-confidence' was found to be higher in native-speaking teachers, and 'assignment difficulty preference' was found to be higher in native-speaking teachers.
Fourth, in case of native-speaking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ing efficacy in terms of age, career, number of hours in training and English teaching certification. In case of Korean English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ing efficacy in terms of gender, age, career, major, number of hours in training and English teaching certification.
- Author(s)
- 김민정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원어민 영어교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0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718
- Alternative Author(s)
- Kim, Min Je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오준일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ⅰ
Ι.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문제 4
1.3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2.1 교사자질 5
2.1.1 초등교사 자질 5
2.1.2 초등영어교사 자질 6
2.2 교사효능감 10
2.2.1 교사효능감의 정의 10
2.2.2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교사의 특징 11
2.3 선행연구 13
Ⅲ. 연구방법 15
3.1 연구참여자 15
3.2 연구도구 17
3.3 자료수집 19
3.4 자료분석 20
Ⅳ . 연구 결과 및 분석 21
4.1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의 영어교사자질에 대한 인식 비교 21
4.2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영어교사 자질 비교 23
4.2.1 연령에 따른 비교 23
4.2.2 경력에 따른 비교 26
4.2.3 전공에 따른 비교 29
4.2.4 연수이수시간에 따른 비교 32
4.3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 비교 35
4.4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교사효능감 비교 37
4.4.1 연령에 따른 비교 37
4.4.2 경력에 따른 비교 39
4.4.3 전공에 따른 비교 41
4.4.4 연수이수시간에 따른 비교 42
Ⅴ. 결론 및 제언 46
5.1 결론 46
5.2 제언 47
참고문헌 49
부 록 5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