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유치원 교사는 인간의 전 생애에 있어 기본적이고 유아에게 긍정적인 모델이 될 수 있는 가장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다. 이러한 유치원 교사는 낮은 보수와 여러 가지 제반 업무로 인해 소진이 되기 쉬운 직업 중의 하나이며, 결국 해마다 이직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소진의 궁극적인 원인은 직무스트레스이며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교사 개인 뿐 아니라, 유아, 학부모, 기관에까지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직․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알아보고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영향력을 분석함과 동시에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들이 느끼는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보호요인인 대처방식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고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심리적 소진에 관한 척도,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산광역시 소재 31개의 유치원의 300명을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원아들과의 활동요인, 개인관련요인, 교사관련요인에서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소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교사로 이루어진 특수집단이라는 점과 학급당 보조교사가 없는 상황에서 학급운영을 할 때, 유치원 교사는 문제 행동을 유발시키는 유아들을 지도하면서 수업을 진행함으로 많은 어려움을 동반하게 된다. 동시에 이러한 상황들은 수업의 질적 향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또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유아들을 지도하여도 개선되지 않고 똑같은 행동이 반복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이는 소진으로 이어지는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개인관련 요인으로는 유치원에서 나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고 또 의견을 제안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등 점에서 교사 자신의 위치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게 되어 소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예측해 볼 수 있으며, 교사관련요인으로는 교사 간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교사들과 협동하여 함께 수행해야하는 업무에 있어 독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려는 교사들과, 교사들에 대한 원장의 편애로 교사 간의 시기와 질투, 갈등과 파벌이 생겨 소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짐을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소진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요인인 대처방식을 매개로 완화효과를 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대처방식의 하위 요인 중 회피중심에서만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거나, 다른 사람의 조언을 구해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더라도 같은 맥락에서 또 다른 직무스트레스가 누적되어 결국은 문제 상황을 생각하지 않고 회피한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문제를 더욱 더 상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별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원아들과의 활동요인은 소진과 대처방식의 문제해결중심, 회피중심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고, 업무관련요인은 소진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행정적지원요인은 소진과 대처방식의 사회적지지추구와 회피중심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고, 교사관련요인은 소진과 대처방식의 회피중심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학부모관련요인은 소진과 대처방식의 회피중심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고, 개인관련요인은 소진과 대처방식의 문제해결중심, 회피중심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의 각 요인별로 대처방식이 다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교사가 각 상황에 맞게 적절한 대처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achieving this research purpose.
1) Do the job stresses influence on psychological burnouts of kindergarten teachers?
2) Do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264 teachers who work at 31 private kindergartens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participants completed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and Coping Strategy Indicat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job stres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only avoidance coping strategie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theory and practice of teacher mental health were discussed. Finally, the future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with limitations of the study.
Author(s)
강명선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스트레스 대처방식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1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61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Advisor
이희영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2. 연구 문제 ‥‥‥‥‥‥‥‥‥‥‥‥‥‥‥‥7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소진 ‥‥‥‥‥‥‥‥‥‥‥‥‥‥‥‥‥‥10
2. 직무스트레스 ‥‥‥‥‥‥‥‥‥‥‥‥‥‥17
3. 스트레스 대처방식 ‥‥‥‥‥‥‥‥‥‥‥ 24
4.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역할 ‥27


Ⅲ. 연구 방법 ‥‥‥‥‥‥‥‥‥‥‥‥‥‥‥‥31

1. 연구대상 및 절차 ‥‥‥‥‥‥‥‥‥‥‥‥31
2. 연구도구 ‥‥‥‥‥‥‥‥‥‥‥‥‥‥‥‥33
3. 자료분석 ‥‥‥‥‥‥‥‥‥‥‥‥‥‥‥‥37


Ⅳ. 연구 결과 ‥‥‥‥‥‥‥‥‥‥‥‥‥‥‥‥38

1.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41
2.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42


Ⅴ. 요약 및 논의 ‥‥‥‥‥‥‥‥‥‥‥‥‥‥ 56

1. 요약 ‥‥‥‥‥‥‥‥‥‥‥‥‥‥‥‥‥‥ 56
2. 논의 ‥‥‥‥‥‥‥‥‥‥‥‥‥‥‥‥‥‥ 58


Ⅵ. 결론 및 제언점‥‥‥‥‥‥‥‥‥‥‥‥‥‥66

1. 결론‥‥‥‥‥‥‥‥‥‥‥‥‥‥‥‥‥‥ 66
2. 제언점‥‥‥‥‥‥‥‥‥‥‥‥‥‥‥‥‥ 67

참고문헌‥‥‥‥‥‥‥‥‥‥‥‥‥‥‥‥‥‥‥68
부 록‥‥‥‥‥‥‥‥‥‥‥‥‥‥‥‥‥‥‥7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