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환자의 성별이 환자의 구전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styles of doctors working in clinics. The moderating role of outpatient gender is also examined. In this study,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in clinic are classified as 4 types: ‘Trust type’, ‘Control type’, ‘Co-operation type’, ‘Professional type’. The Trust type means communication between doctor and outpatient focuses on trust and amenity. Control type means doctors' relationships with outpatients are less personal, and more businesslike in manner. The Co-operation type is related to the kindness and co-operation of doctors to outpatients. The Professional type represents doctors' medical knowledge and skill in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ly the Trust type of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resulted in positive word-of-mouth from outpatients. Second, gender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outpatients' positive word-of-mouth for just two types of style; Co-operation and Professional. This study suggests that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and outpatients' gender make an impact on outpatients' word-of-mouth both theoretically and managerially.
- Author(s)
- 박성덕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1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842
- Department
- 경영대학원 경영학과경영학전공
- Advisor
- 허원무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1
제 2 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7
제 1 절. 커뮤니케이션 7
제 2 절.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9
제 3 절. 환자의 구전활동 20
제 4 절.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지각과 환자 구전 활동 26
제 5 절. 성별 변수의 조절 효과 28
제 3 장. 연구방법 및 분석 결과 33
제 1 절. 자료 수집 및 표본 특성 33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35
제 3 절. 타탕성과 신뢰성 분석 37
제 4 절. 가설 검증 결과 41
제 4 장. 결론 및 논의 44
제 1 절. 연구의 시사점 44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49
참고 문헌 51
설문지 62
표 2-1 커뮤니케이션의 종류 8
표 2-2 의사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선행연구(1) 17
표 2-3 의사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선행연구(2) 18
표 2-4 구전의 특징 22
표 3-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5
표 3-2 확인적 요인 분석 후 채택 항목 38
표 3-3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40
표 3-4 판별 타당석 분석 41
표 3-5 긍정적 구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위계적 회귀 분석 43
그림 2-1 연구 모형 3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경영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