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수요 대응형 클라우드 교통시스템 차량대여소 입지선정
- Abstract
- 최근 개인차량의 증가로 인해 도로교통의 혼잡은 심화되고 있다. 개인차량의 운행 억제를 위한 여러 방편 중 카쉐어링, 렌트카 등의 시스템이 IT 기술과 접목되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소유를 억제하고 아울러 지속가능한 교통환경을 위한 차량공유 시스템에 대한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공유는 도로교통의 혼잡을 줄이고 차량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보다 친환경적인 교통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공유시스템에 대한 개념, 체계도, 운영시나리오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차량 공유시스템 운영에 있어 최우선 과제인 차량 대여소 입지선정 및 수요를 추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부산시 남구, 해운대구, 수영구를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고 인구수, 종사자수, 학생수, OD 통행량 등 주요 교통현황을 분석하고 이용 설문조사를 통해 설정된 죤의 수요를 추정하였다. 각 죤의 발생통행과 도착통행을 고려하고, 이용 빈도 평균사용시간을 분석해 필요 수요를 산정하였다. 대여소 입지선정은 입지후보지를 인구 밀도와 접근성을 통해 평가하고 평가단위를 통일하기위해 평과결과를 정규화 하여 각 후보지를 평가하였다. 평가점수에 따라 선정된 입지후보지의 CTS 죤 수요에 따른 차량 대수 및 주차면수를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대표존으로 해운대구 우1동의 3개의 후보지중 해운대광장공영주차장과 동백사거리공영주차장이 선정되었으며 각각의 차량대수와 주차면은 11대와 14.23면, 7.9대와 10.29면으로 추정되었다. 향후연구로 클라우드 교통 구현시 발생된 실데이터의 적용을 통한 정확한 수요추정이 필요하며 선정된 대여소간의 차량 재분배를 위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설계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Author(s)
- 신민성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1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631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dvisor
- 배상훈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Goal and Objectives 2
1.3. Scope 2
1.4. Flow of Study 4
2. Literature Review 6
2.1. Car sharing 6
2.1.1. Mobility on demand system 6
2.1.2. Zipcar 7
2.2. Decision of Location 9
2.3 Survey design and analyze method 10
3. Estimation of CTS demand 12
3.1. Population 12
3.2. Traffic volume 17
3.3. Question survey 19
3.4. CTS demand for trip purpose 21
3.4.1. Demand of CTS attending trip 22
3.4.2. Demand of CTS attending school trip 23
3.4.3. Demand of CTS business trip 25
3.4.4. Demand of CTS shopping trip 26
3.4.5. Demand of CTS trip from the others 27
3.4.6. Demand of CTS trip from homecoming 28
3.5. CTS demand for trip purpose 29
3.6. The calculation of vehicle possession and parking zone 34
4. Decision of location for CTS rental place 37
4.1. Summary of decision location 37
4.2. Selecting the proposed site 38
4.3. Selecting the criterion of evaluation 39
4.4. Evaluation of proposed site 41
4.5. Result of decision location 43
5. Conclusion 44
References 4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