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이중몰입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소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이중몰입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최근 노사관계에서 중요한 문제가 이중몰입인데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사용자는 조합원들의 회사에 대한 몰입을 증가시키기기 위해 노력 할 것이고, 노동조합은 노조몰입을 높이려고 노력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회사와 노조가 조합원의 몰입을 두고 경쟁하는 상황에서 이중몰입의 영향력을 사전에 이해한다면 노사 모두 선택 가능한 전략의 폭의 훨씬 넓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합원의 이중몰입의 원인과 이중몰입이 노사관계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중몰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조합원의 성격차원인 권위주의 성격과 그들과 우리 의식의 조절효과를 통해 특정한 성격과 의식을 가진 조합원들의 행동을 예측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사몰입, 노조몰입, 이중몰입, 권위주의 성격, 그들과 우리 의식 그리고 노사관계관련 행동지향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표본은 부산지역의 사무금융노조, 공공서비스, 공공운수노조, 공무원노조, 보건의료노조, 금속노조 조합원 53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425부를 대상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적자원관리특성과 노조특성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인적자원관리특성의 절차공정성, 대변성, 윤리성이 노조특성의 민주성, 투쟁성, 윤리성, 연대성이 이중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이중몰입이 노사관계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회사몰입3. 그들과 우리 의식과 권위주의 성격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이중몰입이 노사관계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권위주의 성격은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났다.
4. 기술통계분석결과 부산지역 조합원의 회사몰입은 보통정도이고 노조몰입은 높은 편이었다. 그리고 권위주의 성격은 낮은 편이고, 그들과 우리 의식은 높은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노사관계행동지향성(참가행동지향성, 투쟁행동지향성, 연대행동지향성)은 높았다.
마지막으로 이중몰입의 결과를 중심으로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임금과 승진에 대한 절차공정성, 대변성, 윤리성이 노조의 민주성, 윤리성, 투쟁성, 연대성이 이중몰입의 결정요인이었다.
2. 노사관계행동지향성은 회사몰입3. 권위주의 성격은 이중몰입과 노사관계행동지향성 사이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즉 권위주의 성격은 이중몰입이 노사관계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완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손헌일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2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934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윤영삼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ⅴ
제1장 머리말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목적 2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
제2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이중몰입 6
1. 이중몰입과 회사몰입과 노조몰입의 개념 6
2. 이중몰입의 개념과 쟁점 11
1) 개념과 연구동향 11
2) 이중몰입과 관련된 쟁점들 14
(1) 개념의 독특성 여부 14
(2) 이중몰입의 정도에 대한 판단방법 15
3) 이중몰입과 관련이 있는 이론적 입장 23
(1) 사회적 교환이론 23
(2) 역할갈등이론 26
(3) 인지부조화 이론 29
(4) 소결 32
3. 이중몰입의 원인 33
4. 이중몰입의 결과 34
제2절 인적자원관리특성과 노조특성 36
1. 인적자원관리 특성 36
1) 인적자원관리영역 36
2) 인적자원관리특성차원 37
2. 노조특성 43
제 3 절 그들과 우리들 의식과 권위주의 성격 45
1. 그들과 우리 의식 45
2. 권위주의 성격 46
제4절 노사관계행동지향성 48
1. 노사관계행동지향성의 개념 48
1) 노조참가행동지향성 50
2) 투쟁행동지향성 51
3) 연대행동지향성 52
제3장 실증연구모형과 가설 54
제1절 연구모형 54
제2절 연구가설 55
1. 인적자원관리특성과 이중몰입 55
2. 노조특성과 이중몰입 57
3. 이중몰입과 노사관계행동지향성 59
4. 그들과 우리 의식의 조절효과 61
5. 권위주의 성격의 조절효과 62
제4장 실증연구방법론 64
제1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64
1. 인적자원관리특성과 노조특성 64
2. 이중몰입 65
3. 노사관계행동지향성 66
4. 그들과 우리 의식과 권위주의 성격 67
제2절 설문지의 작성 67
1. 인적자원관리특성 67
2. 노조특성 68
3. 이중몰입 68
4. 그들과 우리 의식 69
5. 권위주의성격 69
6. 노사관계행동지향성 69
제3절 표본 71
제4절 분석방법 73
제5절 상관관계분석 결과 74
제6절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결과 76
제5장 실증분석결과 80
제1절 이중몰입의 판단 80
제2절 기초통계분석 결과 81
제3절 가설검정 결과 83
제4절 종합 해석과 토론 103
제6장 맺음말 106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06
제2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107
제3절 본 연구의 한계 110
제4절 향후연구 방향 110
참고문헌 112
[부록 1] 다른 기준과 통계처리방법에 의한 분석 128
[부록 2] 설문지 141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경영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