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The study of educational methods using moder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Abstract
- 최근 어학연수를 마치고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준 높은 한국어 교육을 받는 중·고급단계의 유학생들은 날로 급증하고 있지만, 전공 학문 분야에 대한 지식 부족과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목표가 다양화되고, 수준 높은 학문적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초보적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넘어선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육 내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언어 기능에서 자신의 의사를 모국어와 같이 한국어로 확실하게 표현할 줄 하는 능력으로서의 '쓰기 능력' 은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준 높은 한국어 학습과 원활한 한국어 능력 신장을 원하는 중·고급 단계의 외국인 학습자에게 꼭 필요한 능력이다. 한국어 쓰기 교육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과 의사를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의 한 과정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교육 못지 않은 중요한 교육활동이다. 외국인 학습자가 기본적인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갖추었다면, 더 나아가 자신의 사고를 논리적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쓰기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에 완전한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꾀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 가운데 내국인이나 외국인 모두에게 친숙한 소설 텍스트는 소설 그 자체의 즐거움과 재미와 흥미 속에서 일반적인 텍스트보다 쓰기 교육의 효율성이 높아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중·고급 단계의 외국인 학습자가 국내 대학(원)에 진학하여 한국어를 공부할 때 강의 듣고 요약하기, 읽고 쓰기, 보고서 쓰기, 논문 쓰기, 자기소개서 쓰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데 꼭 갖춰야 할 능력이 바로 쓰기 능력인데,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의 이러한 쓰기 능력을 기르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급 단계의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한국 문학 장르 가운데 현대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의 내용과 실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고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현대소설을 활용하여 중·고급 단계의 쓰기 활동 교육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외국인 학습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쓰기 교육 활동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의 쓰기 활동 내용은 크게 목적 문학으로서 '소설의 본질 및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쓰기 활동 교육' 과 이를 넘어선 '확장적 글쓰기', '창의적 글쓰기', '일반적 글쓰기' 쓰기 내용으로 제시하고 실제를 들었다. '소설의 본질 및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쓰기 활동 교육' 으로 소설의 3요소인 인물·사건·배경을 통한 쓰기 내용을 '기본 - 심화 - 확장' 으로 단계화하여 체계적·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다음으로 '확장적 글쓰기'와 '창의적 글쓰기', '일반적 글쓰기' 쓰기 활동 내용을 세 가지로 정하고 이를 '기본 - 심화' 로 단계화하여 제시한 다음 쓰기 내용에 따른 실제를 들었다.
본고의 목적에 부합하는 문학 텍스트 선정 기준에 따라 황석영의 소설〈아우를 위하여〉와 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대상 및 내용을 제시하고, 문학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문학 텍스트 선정과 교수 방안,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 방안,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 방안, 쓰기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관한 논의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 보았다.
Ⅱ장에서는 소설 교육의 의의 및 현황을 살펴본다. 먼저 현대 소설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고,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의 의의를 밝힌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에서의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 현황을 대학 기관 한국어 교재와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 살펴보고 잘된 점, 미흡한 점을 지적하였다.
Ⅲ장에서는 일반한국어능력시험(S-TOPIK : Standard TOPIK) 등급별 평가기준과 일반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작문 문항의 평가 범주, 그리고 주요 대학별 한국어 과정 등급별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쓰기 활동 교육 내용과 영역을 이끌어 내기 위한 근거로 삼았다.
Ⅳ장에서는 소설 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항목화·단계화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외국인 학습자 및 한국어 교사들의 설문조사를 통한 소설 교육에 관한 학습자 요구를 분석하여 소설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언급하고, '소설의 본질 및 내용 이해 쓰기' 와 이를 넘어선 쓰기 활동으로 '확장적 글쓰기', '창의적 글쓰기', '일반적 글쓰기' 의 쓰기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의 '소설 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내용' 을 토대로 '소설 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실제' 를 제시하였다. Ⅳ장의 쓰기 활동 교육 내용에 따라 「아우를 위하여」와 「삼포가는 길」를 대상으로 '소설의 본질 및 내용 이해에 관한 쓰기 교육 실제' 에 '인물', '사건', '배경' 탐구 글쓰기의 실제와, '확장적 글쓰기', '창의적 글쓰기'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정리 및 연구의 한계점,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며 마친다.
- Author(s)
- 박광근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2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57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 Advisor
- 채영희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2. 연구의 대상 및 내용 4
1.3. 선행 연구의 검토 8
Ⅱ. 현대 소설 교육의 의의 및 현황 13
2.1. 현대 소설 교육의 의의 13
2.2.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의 의의 15
2.3. 한국어 교재에서의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 현황 19
2.3.1 대학 기관 한국어 교재의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 현황 19
2.3.2.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 현황 22
Ⅲ. 한국어 과정 등급별 교육 목표 및 교육내용 25
3.1. 일반한국어능력시험 등급별 평가기준 26
3.2. 각 대학별 한국어 과정 등급별 교육 목표 및 교육내용 29
Ⅳ. 소설 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내용 34
4.1. 학습자 요구 분석 34
4.2. 소설을 활용한 쓰기 활동 교육 내용 39
4.2.1. 소설의 본질 및 내용 이해 쓰기 43
4.2.2. 확장적 글쓰기 50
4.2.3. 창의적 글쓰기 53
4.2.4. 일반적 글쓰기 58
Ⅴ. 소설 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실제 59
5.1. 작품 선정의 근거 및 선정 60
5.2. 소설의 본질 및 내용 이해에 관한 쓰기 교육 실제 66
5.2.1. 인물 66
5.2.2. 사건(플롯) 73
5.2.3. 배경 85
5.3. 확장적 글쓰기 실제 90
5.4. 창의적 글쓰기 실제 100
Ⅵ. 결론 117
참고문헌 12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