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굴(Crassostrea gigas) 미수정란 및 유생의 냉동보존
- Alternative Title
- Cryopreservation of Unfertilized Eggs and Larvae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Abstract
- 참굴 미수정란 침지 및 인공수정 후 수정률, 부화율 및 형태이상률을 관찰한 결과, CPA 농도가 높아 짐에 따라 수정률 및 부화율이 낮아 졌고, 형태이상률은 높아 짐을 알 수 있었다. 침지시간에 30분 이후부터 수정률 및 부화율이 급격히 낮아 졌고, 형태이상율은 높아졌다. 특히 PEG의 경우는 CPA의 독성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수정률 및 부화율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냉동실험 결과 모든 실험구간에서 인공수정 후 발생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생의 CPA 농도별 유생의 생존율 및 LAI를 관찰한 결과 담륜자의 생존율은 63.8±1.3%, 0.2 M 농도가 가장 높았다. LAI는 0.5 M 농도에서 낮았으며, 형태이상률은 0.5 M 농도에서 높았다.
D형유생은 2.0 M, 2.5 M에서 각각 84.0±1.9%, 84.1±1.5%로 다른 실험구 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LAI 역시 3.3±0, 3.4±0으로 다른 농도에 비해 높았다. 형태이상률은 0.5 M 농도에서 13.4±0.6%로 다른 농도에 비해 높았으으며, 3.0 M 농도에서는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각정기 유생은 2.0 M과 2.5 M에서는 각각 56.3±0.6, 55.1±1.4로 두 농도구간에서는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AI는 2.0 M 2.8±0.1로 가장 높았고, 형태이상률은 0.5 M에서 6.5±0.2%로 높았다.
담륜자, D형유생 초기각정기 유생을 냉동보존 기간별 생존율 및 LAI를 한시간 후, 24시간, 3일, 5일, 7일, 한달 간격으로 검경한 결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해동유생의 사육시간별 생존율 및 LAI를 관찰한 결과, 담륜자는 초기 생존율 63.3%로부터 시간경과에 따라 생존율이 낮아졌다. 12시간째에는 28.2%로 낮아졌고, 24시간째에는 전량 폐사하였다. 한편, D형유생은 초기 생존율 87.4%로부터 54시간째 37.4%로 서서히 낮아지다가 이후 급격히 떨어져 66시간째 3% 낮아졌다가 75시간째에 전량 폐사하였다. 초기각정기의 사육에서도 D형유생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초기 생존율 55.5%로부터 48시간째 22.6%로 서서히 떨어지다가 57시간째에 모두 폐사하였다. LAI 또한 담륜자는 초기 LAI 3.4로부터 시간경과에 따라 낮아지다 24시간째에는 운동성이 없었다. 한편 D형유생은 초기 LAI 3.4로부터 서서히 낮아지다가 72시간째 1.1로 급격히 떨어져 75시간째에는 운동성이 없었다. 초기각정기 유생의 사육에서도 초기 LAI는 2.9로 낮았지만 D형유생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12시간째 2.7 서서히 낮아지다 57시간째에 모든 유생의 운동성은 0%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tolerance against the cryoprotective agent (CPA)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CPA of unfertilization egg for cryopreservation. Also cryopreservation of larvae, structure of pre-freezing and post-thawed larvae, long-term storage of cryopreserved larvae and rearing of thawed larvae were investigated.
In the cryopreservation of unfertilized eggs, fertilization rates and hatching rate were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PA and also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ime of immersion. 10% ethylene glycol was determined as an appropriate CPA through immersion test on unfertilized eggs, but the post-thawed fertilization rates were 0% in all freezing methods.
Morphological shape of unfertilized egg at pre-freezing and post-thawing was observ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Post-thwed unfertlized eggs showed of mitochondria, yolk granules and lipid droplet were irregularly arranged and destroyed.
In the cryopreservation of larvae, after that, when 50% of embryos reached to trochophore, D-shaped and early umbo larvae showing the active motion were used in each experiment. Trochophore, D-shaped and early umbo larvae were used in 0.2 M sucrose and final concentrations of 2.0 M and 2.5 M ethylene glycol. Each CPA with all concentrations was 10 minutes of equilibration time. The survival rates of each larva post-thawed were 63.8% in trochophore, 84.1% in D-shaped larva and 56.3% in early umbo larva.
Morphological shape of trochophore, early umbo larva at pre-freezing and post-thawing was observ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Early umbo larva showed irregularly arranged cilia, nucleus and had roughed surface shell.
Immediately after thawing, the survival rates of trochophore larvae in Pacific oyster was 63%. However, survival rate of trochophore larvae after one hour was decreased rapidly 28% and then no trochophore larvae were alive until 24 hours in the rearing experiment. After thawing, the survival rate of D-shape larvae in Pacific oyster reared in seawater was 87%, and then 12 hours 79%, 24 hours 68%. However, all of them could not alive until 75 hours in rearing experiment. After thawing, the survival rate of early umbo larvae in Pacific oyster reared in seawater was 56%, and then 12 hours 47%, 24 hours 36%. However, all of them could not alive until 57 hours in rearing experiment. Moreover, developmental rate was also 0%.
- Author(s)
- 김기태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Cryopreserv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5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856
- Alternative Author(s)
- Kim, Ki Ta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수산생물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 Advisor
- 장영진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3
1. 미수정란의 냉동보존 3
(1) CPA 침지와 침지 후 수정률 및 부화율 3
(2) 냉동 및 해동 후 수정률 7
(3) 냉동 전후 미수정란의 형태비교 11
2. 유생의 냉동보존 12
(1) CPA 농도별 해동 후 생존율 및 LAI 12
(2) 냉동보존 기간별 해동 후 생존율 및 LAI 12
(3) 냉동 전후 유생의 형태비교 15
(4) 해동유생의 사육시간별 생존율 및 LAI 15
3. 통계처리 15
Ⅲ. 결 과 16
1. 미수정란의 냉동보존 16
(1) CPA 침지와 침지 후 수정률 및 부화율 16
(2) 냉동 및 해동 후 수정률 16
(3) 냉동 전후 미수정란의 형태비교 16
2. 유생의 냉동보존 21
(1) CPA 농도별 해동 후 생존율 및 LAI 21
(2) 냉동보존 기간별 해동 후 생존율 및 LAI 26
(3) 냉동 전후 유생의 형태비교 26
(4) 해동유생의 사육시간별 생존율 및 LAI 30
Ⅳ. 고 찰 33
Ⅴ. 요 약 36
감사의 글 38
참고문헌 4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