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초등학교 5 ․ 6학년 영어 어휘력 신장 사례연구 - 인지적․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ase Study of a Low SES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rs' Vocabulary Extension: Focus on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Abstract
이 학위논문은 부산광역시 남부교육지원청 소속 J 초등학교 2011학년도 1학기 5,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어휘력 신장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J 초등학교는 ‘라’급지에 속해있는 매우 소규모의 교육력 제고 초등학교이며, 부산광역시 교육청 폐교 대상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에서 J 초등학교에 소속된 본 연구자는 사교육의 수혜를 많이 받지 못하는 본교의 5,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어휘력 신장에 관한 사례 연구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방법은 첫째, 2011학년도 3월 초 5, 6학년 학생들에게 필수 영어 어휘력 진단 평가 실시, 둘째, 2011학년 3월 필수 영어 어휘 목록 지급 및 정규 수업에서 확인, 평가, 셋째, 2011학년도 1학기 영어 중간, 기말 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및 영어 어휘 문항 평가 결과 분석, 넷째, 2011학년도 6월 필수영어단어급수인증제 결과 분석, 다섯째, 필수영어단어급수인증제 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위의 방법론에 따라 영어 어휘력 신장에 관한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요소들의 신장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측면에서 5, 6학년의 영어 중간 성취도 평가 평균점 보다 기말 성취도 평가의 평균점이 상승하였고, 2011학년도 제 1회 필수영어단어급수인증제 실시 결과 5학년 73.1%, 6학년 63.3%의 높은 통과율을 보였다. 둘째, 필수영어단어급수인증제와 교사 본인의 수업 일지를 작성하며 5, 6학년과의 대화와 면담 결과 영어 어휘 학습 후의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 성취감, 영어 학습에 대한 적극성 등 정의적 영역의 요소들이 크게 발전, 향상 되었다.
이에 따라 결론을 내리며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인지적 영역, 즉 학습 요소의 신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정의적 영역의 요소가 함께 신장되어야 동반 상승 효과가 크다. 둘째, 교사가 열악한 환경의 학교에 근무할 때 그 환경의 특수성에 대한 깊은 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좋지 않은 환경의 학교의 학생을 대할 수록 교사는 사명감과 학생에 대한 사랑을 더 많이 가지고 학습에 대한 열의를 북돋아 주어야 한다.
Author(s)
박우정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초등영어 사례연구 어휘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6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668
Alternative Author(s)
Park, Woo J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매란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 i

Ⅰ. 서 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사례 연구)의 의의 ……………………………………… 5
1.3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2.1 영어 어휘 교육 ………………………………………………… 7
2.1.1 용어 정리 ……………………………………………………… 7
2.1.2 영어 어휘 교수 학습법 ……………………………………… 10
2.2 우리나라 초등 영어 어휘 교육 개관 ………………………… 15
2.2.1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영어 어휘 교육 …………………… 15
2.3 우리나라 초등 영어 교육과 영어 어휘 연구의 특징 …… 17
2.4 선행 연구 …………………………………………………… 20
2.5 부산 필수영어단어 급수인증제 현황 및 취지 …………… 25

Ⅲ. 연구 방법………………………………………………… 28
3.1 사례 대상 학교 소개 ………………………………………… 28
3.2 연구 대상 ……………………………………………………… 30
3.3 자료 수집 방법 분석 도구 …………………………………… 31
3.3.1 2011학년도 3월 5, 6학년 어휘력 측정 자체 진단 평가 ……… 31
3.3.2 개인 필수 영어 어휘 목록 지급을 통한 영어 교수법 ………… 33
3.3.3 중간, 기말 영어 성취도 평가지 문제 ………………………… 34
3.3.4 필수영어단어 급수인증제 9-I, 8-I 평가 문제………………… 34
3.3.5 5, 6학년 교과서 신출 어휘 …………………………………… 34
3.4 면담(Interview) ………………………………………………… 35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38
4.1 영어 성취도 평가 결과 …………………………………… 38
4.1.1 5학년 평가 결과 …………………………………………… 38
4.1.2 6학년 평가 결과 …………………………………………… 41
4.2 필수영어단어 급수인증제 ………………………………… 44
4.2.1 5학년 9-I 평가 결과 …………………………………………… 44
4.2.2 6학년 8-I 평가 결과 …………………………………………… 46
4.3 학생 자존감 및 성취도 향상 면담 분석 및 논의 ………… 48
4.3.1 5학년 면담 ………………………………………………………… 48
4.3.2 6학년 면담 ………………………………………………………… 50

Ⅴ. 결론 및 제언 …………………………………………… 52
5.1 결론 ……………………………………………………………… 52
5.2 제언 …………………………………………………………… 53

참고 문헌 ………………………………………………… 55
부록 …………………………………………………… 5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