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초임계 유체추출법에 의한 상황버섯 추출기술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개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내 화장품 산업의 급속한 성장 및 발전에 힘입어 최근에 중국과 유럽지역을 포함한 세계시장에서의 한국 제품의 경쟁력 확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 및 수요자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화장품의 개념이 단순 미화에서 고기능, 다기능 제품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화장품법의 제정 및 시행으로 기능성 화장품법이 분리·신설됨에 따라 관련 기업의 활발한 연구개발과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단순 미용개념의 화장품에서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 개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국내에는 풍부한 약용작물을 이용한 천연추출물 화장품 원료개발이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기능성 화장품 원료 개발은 의약품 및 식품개발 비용에 비해 저렴하지만, 시장에 대한 파급 효과 및 매출은 대등하므로 천연물 화장품 소재개발의 사회· 경제적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미백 화장품의 경우 한국, 일본, 중국, 동아시아 시장이 증대되고 있으며 천연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원료개발은 의약품 개발보다 상대적 진입이 용이한 반면 시장규모도 적지 않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개발 시, 동시에 의약품 원료개발 가능성의 부가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천연 원료는 특성상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성이 중시되고 있는 미래 화장품 원료개발에 적합하고 소재개발의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국내산 상황버섯의 추출물로부터 생리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Author(s)
신창욱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6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604
Department
산업대학원 고분자공학과
Advisor
박찬영
Table Of Contents
목 차

국문 초록ⅰ
영문 초록ⅱ
List of Tables iv
List of Figure ⅴ

Ⅰ. 서 론 1
Ⅱ. 이 론 2
2.1. 초임계 유체 추출 2
2.1.1 초임계 유체의 개요 2
2.1.2 초임계유체 내에서 이성분계 상 거동 8
2.1.3 초임계 유체 추출의 장·단점 11
2.1.4 초임계 유체 추출 기술의 적용 12
2.2. 항산화(Antioxidant) 14
2.2.1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 14
2.3 멜라닌 생성 과정 및 활성 저해 물질 17
2.4 생리 활성 물질로서의 상황버섯 19
III. 실험 20
3.1 시료의 추출 20
3.1.1 재료 및 장치 20
3.1.1.1 재료 20
3.1.1.2 실험 장치 20
3.1.1.3 실험 조건 22
3.1.1.4 실험 방법 22
3.2 항산화 실험 25
3.2.1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 25
3.2.1.1 실험 원리 25
3.2.1.2 실험 방법 25
3.2.1.3 활성산소 저해율 계산법 25
3.2.2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 측정 26
3.2.2.1 실험 방법 26
3.2.2.2 활성산소 저해율 계산법 26
3.2.3 SOD(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활성 측정 27
3.2.3.1 실험 방법 27
3.2.3.2 SOD radical scavenging 저해율 계산법 27
3.3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27
3.3.1 실험 방법 27
Ⅳ. 결과 및 고찰 29
4.1 시료 추출 결과 29
4.1.1 초임계 추출 최적 조건 29
4.1.2 초임계 추출물 수율 (Yield rate) 29
4.2 항산화 실험 결과 29
4.2.1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29
4.2.2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 측정 결과 33
4.2.3 SOD(Superoxide radical scavenging)활성측정결과 36
4.3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결과 40
Ⅴ. 결 론 43
감사의 글 45
참고문헌 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고분자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