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친환경적 소재를 이용한 불연성 판넬의 개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ncombustibility of Panel development of Using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s
Abstract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단열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합판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작된 시편에 대한 산소지수농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구하였다.

1. 제작된 시편은 산소농도 97% 에서도 연소되지 않았으며, 화염의 지속시간도 비교적 짧게 나타났다.

2. 시편 A, B, C, D는 불연성으로서 시편 D의 경우 목재성분이 많은 Mecellose의 비율이 높아 화염지속시간이 다른 시편보다 오래 연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시편 C의 경우는 산소농도 97%에서도 다른 시편보다 연소 지속시 간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시편 중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건축용 외벽 단열재의 경우 미적인 외관을 매우 중요시 하므로 물성적 측면의 우수함과 실용화에 있어서 보다 많은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하며, 패널과 보드 성형 시, 제품의 평탄도와 품질적 측면의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By making new insulation materials which improve energy efficiency, I measured oxygenation index of sample A, B, C, D and plywood. The results are shown below.


1) The plywood which sold in the market has a 28% oxygen concentration. And It results that the 2nd level at the flame-resistance test.


2) Sample A, B, C, D are not combustible at oxygen concentration 97% and combustible hour is short.


3) So the sample A, B, C, D are not incombustible materials, but noncombustible materials. In the case of D, it has a high amount of Mecellose which contains a lot of wooden properties. So its combustible hour is longer than the other cases.


4) In the case of C, it has the shortest combustible hour at oxygen concentration 97%. So it results that sample C is the best noncombustible material.


5) External aesthetics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insulation are important. So physical aspects of the excellence and practical application should be supported by many studies. When mold panels and boards, it requires continuous development of high quality and flatness of the product.
Author(s)
류경동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17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538
Department
산업대학원 안전공학과
Advisor
최재욱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 론 1

Ⅱ. 이 론 4
2.1. 실험시료 4
2.1.1 Finecell의 특성 4
2.1.2 Zeolite의 특성 7
2.1.3 Silica 분말의 특성 11
2.1.4 Mecellose의 특성 12
2.1.5 멜라민 수지의 특성 13

2.2 산소지수농도 14

Ⅲ.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15
3.1 불연성판넬 제조장치 15
3.2 시편제조 17
3.2.1 불연성판넬 19

3.3 산소지수농도측정 25

Ⅳ. 실험결과 및 고찰 29
4.1. 합판의 산소지수농도 29
4.2. 제작된 판넬의 산소지수농도 33

Ⅴ. 결 론 44

참 고 문 헌 45
Abstract 4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