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물류 운송․보관분야 전문인력 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cultivating measure of professional staff in port logistics' transport and storage field
- Abstract
- The workforce in the transport and storage areas performing an important function in port logistics needs to be cultivat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re are necessity to study how professional staff in port logistics's transport and storage areas cultiv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raining measures of professional staff in port logistics's transport and storage areas to be seen from the existing workforce's perspective, after grasping the reality and issues about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staff in the transport and storage areas of port logistic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port logistics' professional staff was defined, and logistics environment changes, the cultivation of port logistics' professional staff and the current state of supply and demand were reviewed theoretically.
Second, to obtain basic data on the cultivation of port logistics' professional staff in the transport and storage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 current workers who are working in the facility related to port logistics and places of business.
Third, thru the analysis, the cultivation plan of professional staff in port logistics' transport and storage field was suggested.
The cultivation plan of professional staff in port logistics' transport and storage field presen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is as follows.
It showed the solution for the issues of port logistic's manpower training was to establish the University's business center for efficient manpower training, development of demand-driven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system setup for follow-up management of the cultivated manpower.
- Author(s)
- 김태훈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항만물류 운송.보관 전문인력 양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20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651
- Alternative Author(s)
- Kim, Tai-Ho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 Advisor
- 김삼곤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ⅵ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5
1. 항만물류 전문인력의 개념 5
가. 항만물류 전문인력의 정의 5
나. 항만물류 운송․보관분야 전문인력의 정의 6
2. 항만물류 환경의 변화 7
3. 항만물류 전문인력의 공급 9
가. 정규교육기관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9
나. 단기교육과정을 통한 항만물류 인력의 양성 16
다. 사회교육기관을 통한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 19
라. 항만하역업체 자체교육을 통한 인력 양성 22
마. 물류관리사 제도를 통한 인력 양성 26
4.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체제 및 전망 28
가.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체제 28
나. 항만물류 전문인력의 수급 전망 30
5. 선행연구의 검토 32
Ⅲ. 연구방법 35
1. 조사 대상 35
2. 조사 방법 및 도구 36
3. 자료 수집 및 처리 38
Ⅳ. 연구결과 및 고찰 39
1.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39
가.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39
나. 지식습득의 경로 40
2. 기술요구사항 40
가. 직무수행을 위한 학력의 수준 40
나.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한 최소 교육훈련 기간 42
다. 항만물류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 44
라. 신입사원의 항만물류 전문기술의 수준 45
3. 정규교육과정의 항만물류전문인력 양성 만족도 47
가. 정규교육과정의 인력양성 만족도 47
나. 정규교육과정의 전문인력양성 교육의 문제점 48
4. 사회교육기관에서의 양성 만족도 50
가. 사회교육기관에서의 피교육 경험 50
나. 사회교육기관 평균교육기간 52
다. 사회교육기관에서의 피 교육 사유 53
라. 전문기술 교육의 업무수행 기여도 55
마. 사회교육기관의 교육 만족도 56
바. 사회교육기관의 전문인력 양성 기여도 58
사. 사회교육기관의 전문인력 양성교육의 문제점 58
아. 사회교육기관에 대한 희망사항 60
5. 고찰 65
가. 산학연계를 위한 대학의 비즈니스센터 구축 65
나. 사회교육기관의 확대 및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66
다. 수요 지향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67
라. 항만물류 전문인력 정보 및 취업센터의 설치․운영 68
마.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의 설립 필요 69
Ⅴ. 요약 및 결론 70
1. 요약 70
2. 결론 72
참고문헌 75
부록- 설문지 77
감사의 글 8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