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EBS 초등영어 교과내용 드라마 자료가 초등 6학년 학생들의 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EBS 초등영어 교과내용 드라마 자료가 초등 6학년 학생들의 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적용되는 EBS 영어방송의 6학년 영어교과 내용 드라마 자료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순서에 따라 비슷한 또래들의 학교와 가정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상의 소재들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TV라는 매체는 음성과 영상이 결합된 훌륭한 시청각 자료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의욕과 학습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교실 영어수업에 활용한다면 다른 매체와는 비교할 수 없는 큰 가능성과 잠재력을 지닐 것이라 생각된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사하구에 소재한 J초등학교 6학년의 두 학급 총 6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초조사 설문을 실시하고 영어 듣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 사전 검사로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집단 한 학급(30명)과 비교집단 한 학급(30명)으로 나누어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 기간은 201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8주 16차시에 걸쳐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매 차시 수업은 40분간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기존의 교육과정 운영과 더불어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병행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기존의 교육과정 그대로 수업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듣기 성취도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영어 능력 하위 수준의 학생에 비해 상위 수준 학생의 영어 듣기 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실험대상인 학교의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비교집단을 선정하였으므로 모든 초등학교에 일반화하여 적용하는데 제한이 따를 수 있다.
둘째, 8주 16차시의 짧은 기간 동안 실험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므로 시간적 제약이 수반된다.
셋째, 실험과정 및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교 변인, 교사 변인, 기타 사교육 등의 환경 변인 등에 대한 통제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실험 결과의 해석에 있어 이러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에서 제외하였다.
8주간의 실험수업 후 본 실험이 듣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듣기평가와 정의적 영역 설문지를 통해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듣기 성취도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1’은 t-test결과 통계적으로 입증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실험집단 학생들의 성적이 비교집단 학생들의 성적에 비해 약 1.7점 정도 향상되었기 때문에 미미하지만 어느 정도 효과는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의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수업을 기존의 교육과정과 꾸준히 병행함으로써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꾸준한 언어 입력을 받아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고 나타난 것이다.
둘째,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영어 능력 하위 수준의 학생에 비해 상위 수준 학생의 영어 듣기 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2’는 긍정되었다. 이는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 자체의 수준이 낮지 않은 편이라 영어 능력 하위 수준의 학생에 비해 상위 수준의 학생에게 더 적합하였기 때문에 영어 능력 상위 수준 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은 일부만 긍정되었다. 참여도와 자신감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흥미도에 있어서는 큰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EBS 초등 6학년 영어 드라마 자료를 이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회가 늘어나면서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를 통해 실력이 향상되면서 자신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다소 단순하고 일상적인 소재가 반복되어 나타나고 학생들의 흥미를 끌만한 신선한 요소가 부족하여 흥미도를 상승시키는 데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학교에서 영어 수업을 할 때 단순히 교과서를 위주로 하여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학생들을 가르치기보다는 EBS 영어 방송과 같은 다양한 시청각 자료와 흥미로운 드라마 소재를 활용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영어 학습 성취도, 특히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다. 나아가 시청각 자료의 활용과 함께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여 영어 수업을 진행한다면 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이러한 영어 학습 자료를 자주 접하게 하여 학교와 가정 모두에서 연계가 되어 학습자가 스스로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격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uthor(s)
강영은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2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248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배재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과제 3
1.3 연구의 가설 3
1.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2.1 EBS 영어교육방송(EBSe)의 활용 5
2.1.1 EBS 영어교육방송 개관 5
2.1.2 EBS 영어교육방송의 특징 6
2.1.3 EBS 영어교육방송 초등 프로그램의 활용 6
2.1.4 초등 영어교육에서 교육방송의 활용 11
2.2 드라마의 교육적 활용 13
2.2.1 드라마의 유래 13
2.2.2 드라마의 특징 14
2.2.3 수업 중 드라마 활동의 절차 14
2.3 영어 듣기 지도 16
2.3.1 듣기의 중요성 16
2.3.2 듣기 지도의 방법 17
2.3.3 듣기 지도의 유형 20
2.3.4 듣기 지도의 절차 23
2.3.5 제 7차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듣기 성취기준 26

Ⅲ. 연구 방법 28

3.1 연구 개관 28
3.2 연구 대상 28
3.3 연구 기간 및 절차 29
3.4 연구의 실제 31
3.4.1 수업자료 선정 31
3.4.2 수업 운영 31
3.5 측정 도구 33
3.5.1 기초 조사 설문지 33
3.5.2 듣기평가 검사지 33
3.5.3 정의적 영역 검사지 34

Ⅳ. 연구 결과 분석 35

1. 기초 조사 설문지 결과와 해석 35
2. 사전 동질성 검사 40
3. 듣기능력 평가 결과와 해석 43
4. 듣기능력 수준별 평가 결과와 해석 44
5.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결과와 해석 45

Ⅴ. 결론 및 제언 48
참고문헌 50

부록 1. 영어 학습에 대한 기초 조사 설문지 52
2. 사전 듣기평가 검사지 54
3. 사후 듣기평가 검사지 56
4. 정의적 영역 조사 설문지 5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