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모델을 이용한 호율적인 VTS관제 해상교통지원시스템 개발
- Alternative Title
- Development of Marine Traffic Supporting System through ES Model for VTS
- Abstract
- VTS가 해양사고의 예방에 많은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VTS 관제구역에서 발생한 해양사고중 충돌, 접촉, 좌초 등의 교통관련사고의 비중은 높으므로 그 대책으로써 VTS 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VTS 관제사들은 각자의 주관적인 지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관제구역내의 선박을 통제하고 있다. 이는 관제사가 관제구역내 선박의 통항 상황을 파악하고 관제개입시점 및 관제내용을 결정함에 있어 개인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개인차는 효과적인 관제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VTS에서 효율적으로 선박을 통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선박의 항행 위험도를 선박 운항자의 위험감에 기초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해상교통지원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는 VTS 관제사가 관제대상을 식별하고 관제 시점 및 위험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해양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관제대상 및 관제 해역의 확대로 인한 VTS 관제사의 업무 부담을 효과적으로 경감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 Author(s)
- 이형기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S Model VT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25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278
- Alternative Author(s)
- LEE, HYONG KI
- Affiliation
- 대학원 안전공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안전공학과
- Advisor
- 장성록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3
1.3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제 2 장 항행위험도 평가모델에 관한 고찰 6
2.1 교통현상 평가모델 8
2.1.1 선박 조우 빈도 평가모델 8
2.1.2 피항조선 조작량 빈도 분석 모델 10
2.1.3 항로 혼잡도 평가 모델 11
2.2 조선 곤란성 평가모델 13
2.2.1 SJ 모델 13
2.2.2 BC 모델 15
2.2.3 ES 모델 18
2.3 IALA 평가모델 26
2.3.1 IWRAP 26
2.3.2 PAWSA 31
제 3 장 VTS 관제구역내의 해양사고 분석 36
3.1 해양사고 분석 37
3.2 교통관련사고 예측모형 개발 54
3.2.1 독립변수의 선정 54
3.2.2 예측모형 개발 58
제 4 장 해상교통지원시스템 64
4.1 해상교통지원시스템의 개발 64
4.2 데이터 수신부 72
4.2.1 선박정보 수신부 72
4.2.2 장애물정보 수신부 80
4.3 연산 및 판단부 83
4.3.1 타 선박 위험도 연산부 83
4.3.2 지형장애물 위험도 연산부 83
4.3.3 항행위험도 판단부 84
4.4 항행위험도 표시부 86
4.4.1 표시부의 설정 86
4.4.2 항행위험도 표시 89
4.4.3 톤수별 항적 표시 90
4.4.4 선종별 항적 표시 92
4.5 해상교통지원시스템의 평가 94
4.5.1 위험도 판단에 관한 편차 95
4.5.2 시스템의 유효성 98
제 5 장 결 론 103
참고문헌 105
부 록 109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