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aerosol-cloud interactions over Korean peninsula using Terra-MODIS satellite data
- Alternative Title
- MODIS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에서의 에어로솔-구름의 연변화와 계절변화
- Abstract
- 구름과 에어로솔 광학특성을 MODIS 자료를 통해 조사해봄으로서 에어로솔-구름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황해, 한반도 내륙, 동해 그리고 남해 지역으로 나누어 4개의 다른 지역에서 나타내는 에어로솔과 구름간의 연 변화와 계절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점별로 살펴보면, R1지역인 황해에서는 에어로솔 광학두께 (AOD), 구름 얼음 반지름 (CIR), 에어로솔 지수 (AI)가 높게 나타났으며 타 지점에 비해 에어로솔 양이 많았으며, 전체 에어로솔 중 먼지와 같은 흡수 에어로솔이 많이 분포하였다. R2지역인 한반도 내륙에서는 미세입자비율 (FMF)의 평균값은 낮으나 6월부터 9월까지의 값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 때 남쪽으로부터 온 에어로솔이 한반도 내륙에 풍부하게 존재하였다. R3지역인 동해에서는 미세입자비율과 구름 물 반지름 (CWR)이 높게 나타나 전체 에어로솔 중 작은 입자의 비율이 높았고, 구름 물 입자의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해양지역에서 축적모드 (accumulation mode) 입자들이 많이 존재함으로서 구름 응결핵으로서 작용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타 지점에 비해 위도가 낮은 R4지역인 남해에서는 구름 얼음 반지름이 낮게 나타났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봄철에 4지역 모두에서 에어로솔 광학두께, 구름 얼음 반지름과 에어로솔 지수가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구름 물 반지름과 미세입자비율은 여름철에 높았으며, 가을에는 에어로솔 광학두께와 에어로솔 지수가 낮은 값을 보여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기 중 에어로솔의 양이 적게 나타났다. 겨울에는 한반도 내륙에서 구름 얼음 입자의 크기가 크고 상대적으로 위도가 낮은 남해에서 작게 나타났다.
계절별 에어로솔 간접지수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얼음 입자에서는 Twomey effect와 Anti-Twomey effect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특히 봄철 황해에서는 에어로솔 입자의 증가로 Twomey effect가 0.09의 값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한반도 내륙에서는 강우량의 증가로 -0.04의 값을 가진 Anti-twomey effect가 나타났다. 물 입자에서는 Anti-Twomey effect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해양에서의 에어로솔의 증가가 응결핵 역할을 하여 물 입자 형성에 도움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여름철 강수가 집중되는 장마기간을 대상으로 구름층별 에어로솔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음의 에어로솔 간접지수가 산출되어 Anti-Twomey effect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마철 한반도 주위의 습한 대기상태로 인해 구름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서 강수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황해지역의 상층운에서는 얼음입자가 Twomey effect를 보였으나, 그 외 지점에서는 모두 Anti-Twomey effect를 보였다. 중층운에서는 상층운보다는 큰 음의 에어로솔 간접지수를 나타내었으나, 하층운보다는 작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하층운에서 다른 구름 층에 비해 Anti-Twomey effect가 특히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에어로솔이 하층운에서 구름과 강수 형성에 보다 직접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 Author(s)
- Woon-Seon Jung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에어로솔 간접 효과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26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494
- Alternative Author(s)
- 정운선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공학학ㆍ연협동과정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2. DATA AND METHODOLOGY 4
2.1 Data 4
2.1.1 MODIS characteristics 4
2.1.2 MODIS data products 8
2.1.3 MODIS parameters 11
2.2 Methodology 16
2.2.1 Region 16
2.2.2 Aerosol indirect effect 17
3. RESULTS 21
3.1 Interannual variability 21
3.2 Seasonal variability 35
3.3 Aerosol indirect effect 38
4. SUMMARY AND CONCLUSIONS 51
References 53
Acknowledgement 5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공학연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