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2 Learners’ Sensitivity to Referential Context in English PP-Ambiguity Resolution
- Alternative Title
- 영어 PP-애매성 해결에서 지시문맥에 대한 L2 학습자의 민감도
- Abstract
- 영어 PP-애매성 해결에서 지시문맥에 대한 L2 학습자의 민감도
Dhari Al-Otaibi
부경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요약
최근 단일어 화자가 보이는 구조분석에서의 전치사구 애매성 현상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는 그 대상자를 확대하여 L2 학습자들의 전치사구 애매성 해결에서 지시문맥 (referential context)에 어떠한 민감도를 보이는지 자기조절 읽기반응 속도 측정(on-line self-paced reading task)을 통해 조사해 보았다. 이를 위한 실험에서 PP가 VP를 수식할 수도, NP를 수식할 수도 있는 애매한 문장을 이용하였다 (Jane expected the bus with much anticipation but waited at the wrong stop). 피실험자들에게 이 문장이 제시되기 전에 경우에 따라 1회 혹은 2회의 지시어를 담은 짧은 단락이 소개되었다. 실험 결과, 영어 화자 뿐만 아니라 L2 영어 화자들도 지시문맥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특이한 사실은 두 화자집단에서 공히 NP 수식 해석이 VP 수식 해석보다 더 선호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지시 이론 (Referential Theory)을 뒷받침 하는 반면에, 최소 이론 (Minimal Theory)과는 상반되는 내용이다.
- Author(s)
- Dhari Al-Otaibi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Linguistics psycholinguistic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2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274
- Affiliation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Advisor
- Park Soonhyuck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2. Theoretical Background. 4
2.1 Syntactically based parsing principle.5
2.2 Lexically-specific based resolution.6
2.3 Theories of ambiguity revolving around discourse-based interpretation.7
2.4 L2 learner’s PP-ambiguous attachment preference.9
3. Experiment.11
3.1 Participants.12
3.2 Materials and designs.12
3.3 Procedure.14
3.4 Result and Discussion .15
4. General Discussion.20
References.23
Appendix.3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