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에 관한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nnectivity of Communicative Functions in Listening and Speaking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영어 교과서가 제 7차 교육과정 부록 ‘의사소통 기능과 예시문’에 근거하여 의사소통 기능 측면에서 연계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7개의 의사소통 상위영역에 따른 하위 영역인 47개의 의사소통 기능들이 유기적인 연결고리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동일한 출판사 교과서들 내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각 출판사의 교과서는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과 더불어 전반적인 표현을 익힐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측면에서 각각의 교과서가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을 학년별․교과서별로 충분히 고려해 반영하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Author(s)
장상우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교과서 의사소통 연계성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31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275
Alternative Author(s)
Jang, Sang Woo
Affiliation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윤희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과제 3
1.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5

2.1 영어 교과서 5
2.1.1 영어 교과서의 개념과 기능 5
2.1.2 영어 교과서의 내용구성 7
2.2 영어 교과서의 연계성 10
2.2.1 연계성의 의미 10
2.2.2 선형 배열과 나선형 배열 10

Ⅲ. 연구 방법 13

3.1 연구 대상 13
3.2 연구 분석기준 14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16

4.1 학년별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 16
4.2 교과서별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 29

Ⅴ.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58
부 록 6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