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건설공사 감독원 수행평가 모형 개발
- Alternative Title
- A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Supervisors in the Public Construction
- Abstract
- 이 번 연구는 공공건설공사 업무수행에 있어서 건설공사 참여자중 그 역할이 중요한 감독원에 대한 수행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실제 건설현장에서 감독원의 평가를 통해서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감독원업무수행평가에 중요한 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분산분석과 요인분석 및 AHP분석을 수행하여 건설공사 참여주체 그룹들 간에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여 수행평가 평정표를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건설공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감독원에 대한 수행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약 87%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항목에 대한 건설공사 참여 그룹별(발주자, 원도급사, 하도급사, 설계사, 감리자)로 수행평가항목에 대한 ANOVA분석결과 설계사는 동의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사를 제외한 나머지 참여자가 동의하는 59개항목을 이용 18개의 요인을 도출한 후 업무수행태도평가, 공사관리능력평가 및 감독원역량평가로 그룹화하였다. 18개요인에 대한 가중치가 적용된 공공 건설공사 감독원 수행평가 제안한 평가모형(평정표)를 이용 실제 감독원이 상주하는 현장에서 감독원에 대한 수행평가를 실시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performance of supervisors should be periodically reviewed and evaluated in order to successfully deliver a project. This study presents a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supervisors in their contractual responsibility. ANOVA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done with construction professional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upervisor performance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analyzed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in this study. The model was implemented to an actual construction project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in evaluating the supervisors' performance..The key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supervisors model is made up of 18 key performance assessment factors for supervisors and 59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Weights were assigned to each factor through an AHP survey. A performance assessment form was provided to assess the level of supervisor performance. The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was implemented in an actual construction project to test its applicability.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m was used to evaluate supervisor performance on a construction site. The result shows that the expected rank and the AHP weights are in consistent with each other, and proves that the model has high applicability.
- Author(s)
- 손정줄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수행평가 감독원 분산분석 요인분석 평가모형 평정표 역량평가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3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345
- Department
-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dvisor
- 이영대
- Table Of Contents
- 목 차
표 목차 ⅴ
그림 목차 ⅷ
국문 요약 ⅹ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3
1.3 기대효과 4
2. 문헌고찰
2.1 선행연구로 본 이론적 배경 6
2.1.1 건설 참여자 역할과 책임 6
2.1.2 발주자 역할 8
2.1.3 감독원 역할 16
2.2 수행평가 21
2.2.1 연구사례 21
2.2.2 평가 항목 26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1 자료수집 32
3.1.1 자료수집 도구 35
3.1.2 설문형식 37
3.1.3 모집단 및 표본 38
3.2 분석 방법 40
3.2.1 신뢰도 검증 41
3.2.2 주요변수 선택 42
3.2.3 유의성 검증 44
3.2.4 요인분석 51
3.2.5 순위합 가중치 56
3.2.6 AHP 분석 57
4. 분석 및 결과 고찰
4.1 평가변수 분석 63
4.1.1 자료 분석 63
4.1.2 변수 신뢰도 규명 73
4.1.3 평가변수 선정 74
4.2 요인분석 110
4.2.1 상관계수 110
4.2.2 요인별 변수 113
4.2.3 요인설명 116
4.2.4 요인 그룹화 127
4.3 순위합 가중치 128
4.3.1 Spearman 순위 상관 검증 128
4.3.2 순위합 가중치 135
4.3.3 수행도 영향 요인 140
5. 수행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5.1 모형 개발 142
5.1.1 가중치 산정 (AHP 분석) 142
5.1.2 모형 개발 (KPASM) 146
5.1.3 모형 적용 150
5.2 모형 평가 156
5.2.1 평가항목 비교 156
5.2.2 선행연구와 차별성 159
5.2.3 수행도 판정160
5.3 감독원 수행도 향상 방안 163
5.3.1 감독원 역량 향상 163
5.3.2 수행도 개선 방안 164
5.3.3 수행도 개선 모형 168
6. 결론
6.1 평가모형 개발 170
6.2 연구한계 및 제안 173
참 고 문 헌 174
ABSTRACT 183
부 록 186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