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소비자의 공연관람 행태에 관한 연구
- Abstract
- 과거에는 문화예술의 감상과 향유가 일부 특권계층의 전유물이었지만 매스미디어의 발달에 힘입어 문화상품의 대량 보급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소외되었던 계층에서도 문화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공연소비자들의 공연관람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277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공연 관람자들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공연정보를 수용하고 공연 관람 의사를 결정하는지, 관람객의 공연 관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또 공연을 선택하고 공연장을 찾는 사람들이 공연 선택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매체는 무엇인지 공연소비자들의 공연관람 행태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관람행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학적 속성을 성별, 연령, 학력, 소득, 직업으로 나누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공연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지만 전반적인 공연관람행태에 있어서 인구학적 속성에 따라 확연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인터넷의 보편화로 인터넷 사용시간이 많은 대학생과 30대, 40대 회사원들에 있어서 공연정보 획득매체와 매체의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연소비자의 유형에 따라 공연관람행태의 차이가 드러났다. 본 연구의 응답자 277명 중 38.3%가 공연소비에 소극적인 무관심관객으로 나왔고 관심은 있으나 적극적이지 않은 관심 관객은 32.5%, 미리 티켓을 예매하며 아마추어로 예술 취미활동을 하거나 특정 예술인이나 단체를 후원하는 열성관객은 29.2%로 나왔다. 열성관객들은 13.4%가 회원으로 공연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있었고 12.6%가 아마추어로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답해 열성관객들이 적극적으로 공연 소비활동에 참가하고 주체적으로 즐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동일한 조건에서 처음 공연정보를 접한다고 하더라도 공연소비자의 유형에 따라 공연정보를 수용하는 경로, 수용정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무관심관객은 주변사람들의 권유(입소문)에 많은 영향을 받고 상세한 공연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획득한다. 관심관객도 최초 공연 정보와 상세공연정보를 주변사람을 통해 획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주변사람들의 정보에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열성관객의 경우 공연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온 집단이기 때문에 신문, 잡지 매체를 통해 최초 공연 정보와 상세 공연 정보를 획득했다. 매체의 신뢰도는 광고보다는 주변사람과 인터넷 정보에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연 입장권의 구매시기와 선호 공연장르, 공연정보의 획득 매체 등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관객인 무관심관객을 공연장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서는 소비자의특성에 맞는 보다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Author(s)
- 백경옥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공연소비자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32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47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남인용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제 1장.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제 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3
제 1절. 공연 예술의 특징 3
제 2절. 공연예술시장의 구조 5
1. 공연예술시장에서의 공급과 수요 5
2. 공연 예술 시장에서의 매개 6
3. 공연예술시장에서의 지원 7
제 3절. 공연의 소비자 유형 8
제 4절. 공연예술 수용과정 10
제 5절. 공연 소비자의 의사 결정 과정 13
제 6절. 의사 결정에 관여하는 촉진요소 16
제 7절. 공연소비실태 20
제 3장. 연구문제 및 연구 방법 25
제 1절. 연구문제 25
제 2절. 연구방법 26
제 4장. 연구결과 28
제 1절. 기초 통계분석 28
1. 표본의 특성 28
제 2절. 분석 결과 29
1. 공연 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 관람행태 차이 29
2. 공연 소비자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 선택시 중요도차이 47
3. 공연 소비자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정보획득 매체의 차이 55
4. 공연 소비자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정보획득 매체의 신뢰도 차이 59
5. 공연 소비자 유형에 따른 공연 관람행태 차이 64
1) 공연 소비자 유형 분석 과정 및 타당도 64
2) 공연 소비자 유형에 따른 공연 관람행태 차이 66
6. 공연 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 선택시 중요도 차이 70
7. 공연 소비자 유형에 따른 공연 정보 획득 매체의 차이 72
8. 공연 소비자 유형에 따른 공연 정보 획득 매체의 신뢰도 차이 76
제 5장. 결론 79
제 1절. 연구 결과 요약 및 결론 79
1. 연구 결과 요약 79
2. 결론 88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89
참고 문헌 92
설 문 지 9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