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 맵을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 Abstract
- 쓰기 교육은 사고력 향상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학교 교육에서도 쓰기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저변에 깔려 있다. 그러나 쓰기 교육에 대한 실제 지도는 등한시 되고 있다. 또한 쓰기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지도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글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학습자들이 글쓰기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어휘의 부족이나 미흡한 문장력, 쓰기 구성능력의 부재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평소 쓰기 훈련을 충분히 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수업 시간에 비교적 쉽게 쓰기 훈련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쓰기를 어려워하는 여러 가지 이유 중 쓰기 구성능력에 초점을 맞춰 쓰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과제는 마인드 맵을 활용한 쓰기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가장 중점을 둔 점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었다. 기존의 연구는 마인드 맵 전략을 익히고 사용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단원 자체도 새롭게 구성한 것이어서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단원을 새롭게 구성하지 않고,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23종 7학년 국어 교과서 중 하나를 택해 개발한 교수-학습 방안을 적용하였다.
교수-학습 지도 방안에 적용할 모형은 글쓰기를 두려워하는 학습자의 부담감을 줄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대화 중심의 작문 절차 모형과 협동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글쓰기에 미흡한 학습자가 글쓰기의 전 과정을 혼자서 해결하도록 하는 것보다 또래 학습자들 간의 대화와 협동을 어느 정도까지 도움을 받고 나머지 과제를 혼자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래서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고, 마인드 맵을 활용해 개요를 작성하는 활동까지 협동 학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인드 맵 작성을 지도할 때는, 글쓰기에 사용할 마인드 맵인 것을 감안해 적절히 변형시켜 지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인드 맵은 처음 기억력 향상을 위한 필기 전략으로 나온 것이었다. 따라서 이는 이미지를 강조하는 측면이 크다. 필기를 할 때 문자와 이미지를 동시에 사용해 말, 기호 등의 지각을 담당하는 좌뇌와 이미지, 색상 등의 지각을 담당하는 우뇌를 통합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기억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전략이었다. 하지만 글쓰기를 위한 마인드 맵은 기억이 아닌 글쓰기의 기초단계인 개요 작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마인드 맵처럼 이미지를 크게 강조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시간 절약을 위해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중심이미지와 주가지에 들어갈 핵심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1)학습자의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다. (2)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정보를 정리하고, 주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떠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 (3)학습자가 작성한 마인드 맵은 자신의 생각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4)글쓰기 중에도 수시로 추가, 수정할 수 있고 전체적 윤곽에 살을 붙이는 효과가 있다. (5)글을 다 쓴 후 개요로 만든 마인드 맵과 비교해 봄으로써 글의 통일성과 유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Author(s)
- 김현애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35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293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Advisor
- 조미정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선행연구 검토 11
2.1. 마인드 맵을 국어교육에 활용한 연구 11
2.2. 마인드 맵을 쓰기교육에 활용한 연구 13
Ⅱ. 과정중심의 쓰기 교육과 마인드 맵 쓰기 교육 18
1. 과정중심의 쓰기 교육 18
2. 마인드 맵과 쓰기 교육 23
2.1. 두뇌이론과 마인드 맵의 생성 동기 24
2.2. 마인드 맵의 정의 25
2.3. 마인드 맵의 구조 25
2.4. 마인드 맵의 구성 요소 26
2.4.1. 핵심어 26
2.4.2. 연합 27
2.4.3. 묶기 27
2.4.4. 시각적 이미지 28
2.5. 마인드 맵의 기본적 작성법 28
2.5.1. 중심이미지 28
2.5.2. 주가지 29
2.5.3. 부가지 30
2.5.4. 세부가지 30
2.5.5. 수정 및 보충 31
2.6. 마인드 맵과 쓰기 32
Ⅲ. 마인드 맵을 활용한 쓰기 교육의 실제 36
1. 쓰기 과정에 따른 쓰기 지도의 절차 36
2. 마인드 맵 활용한 쓰기 지도의 절차 41
2.1. 마인드 맵 작성 순서 42
2.2. 마인드 맵 작성 방법 43
2.2.1. 중심 이미지 그리기 44
2.2.2. 마인드 맵으로 구성하기 44
2.2.3. 표현하기 46
2.3. 마인드 맵의 실제 47
Ⅳ. 마인드 맵과 교수-학습 64
1. 마인드 맵 교수-학습 모형 64
1.1. 대화 중심 작문 모형 65
1.2. 협동학습 모형 66
2. 마인드 맵 교수-학습 지도안 69
2.1. 교과서 및 단원 선정의 이유 69
2.2. 단원 성취 기준 72
2.3. 전 학년 학습 내용과의 관련 72
2.4. 교수-학습 계획 73
2.5. 지도상 유의점 74
2.6. 교수-학습 지도안 75
2.6.1. 5/16 차시 75
2.6.2. 6/16차시 80
Ⅴ. 결론 85
참고문헌 8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