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적 레디메이드를 이용한 예술작품의 아우라 변형에 관한 연구
- Abstract
-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레디메이드(ready―made) 영향으로 인한 현대미술의 특징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전통 미술의 ‘시각적 재현에서 오브제(object)의 제시’로 이동하는 개념적 변화이다. 새로운 개념의 도래로 현대미술에서의 사진의 활용은 레디메이드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술작품을 위한 작품의 소재로써 선택된 사진은, 사진이 하나의 오브제로 간주된다는 관점에서 ‘사진적 레디메이드’라고 말할 수 있다. 오브제로서 사진은 조작되고 변형되어 다른 매체와 결합하여 예술작품으로 재창조 된다. 이러한 사진은 교환과 무한복제, 재구성이 편리하여 가치의 전이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는 특성때문에 많은 예술가들이 사진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작품 속에서 사진적 레디메이드의 활용의도와 형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작가들은 예술적 메시지의 전달을 위한 표현적 도구로 사진적 레디메이드를 이용한다. 둘째, 예술가들이 사진을 사용한 의도는 새로운 예술작품으로 창출하려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셋째, 사진적 레디메이드를 활용한 작업형태는 콜라주, 컴바인 페인팅, 실크스크린, 설치미술, 포스터, 디지털아트 등으로 다양한 장르의 형태로 나타난다. 로버트 라우센버그는 전통적인 장르와 구도를 파기하고 사진이라는 새로운 오브제를 사용하여 기존의 모든 이념체제를 넘어 미술의 영역을 무제한으로 ‘확장’시켰다. 그리고 새로운 해석과 변용(變容)이라는 과제를 제시하며, 이는 곧 “아우라의 확산(擴散)”으로 이어진다. 앤디 워홀은 복제와 반복에 기반을 둔 매체들을 하나의 예술장르로 만들면서, 오늘날의 예술세계를 보다 다양하게 만들었다. 이는 곧 더 이상 복제된 이미지가 아니라, 또 다른 아우라를 생성하는 ‘생성의 이미지’, 즉 “복제(複製)아우라”라는 새로운 아우라 개념을 창출하고 있다. 크리스티앙 볼탕스키는 존재의 양면성과 재구성을 통해 실존의 의미를 숙고하게 한다. 아마추어 사진을 이용한 재구성화는 원본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사라지게 하고 새로운 가치가 발생하는 좋은 활용으로 전이(轉移)된다. 자신만의 재구성화를 통해 의미의 연속적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재구성(reconstruction)된 아우라, 즉 “해체(解體)적 아우라”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페드로 마이어는 디지털 예술작품의 대중화를 완성하였고, 가상공간에게까지 전시적 가치를 확장한다. ‘컴퓨터 미술관’ 속의 예술작품이 관람자와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언제 어디서든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서의 변형된 아우라, 즉 “디지털 아우라(digital aura)”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현대미술에서의 사진적 레디메이드는 또 다른 매체와 결합하여 조작되고, 변형되어 새로운 예술작품으로 재창조된다. 이렇게 재창조된 예술작품은 그것이 본래 가졌던 미학적 성질(원본성)을 잃어버리게 되고, 이는 아우라 상실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벤야민은 이러한 아우라 상실을 긍정적으로 해석한다. 기술의 발달과 대량복제로 인해 예술작품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된 것을 의미한다. 즉 아우라는 상실되고 붕괴되어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한 시대의 패러다임에 맞게 “아우라의 변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aura
of the works of art which used photographic ready-made
Jung, Min-soo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contemporary art features which are caused by with Marcel Duchamp's ready-made effects most the fact that it is clear is the conceptual change which moves with 'object presentations from visual presentations' of the traditional art. With arrival of new concept, the photograph application from the inside contemporary art ready-made is relationship which is close. With subject matter of the work for the work of art the photograph which is selected, the photograph is regarded as one object, from viewpoint "photographic ready-made"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As object the photograph is fabricated and it is changed and with different medium it combines and with the work of art re-creation it becomes. Like this photograph with exchange and infinity reproduction the reconstitution is convenient and the transfer of value quickly, became accomplished and because of quality the many artists to make the photograph use they became. Photographic ready-made application intention and form with like afterwords appear from like this work of art inside. First, artist uses photographic ready-made with the expressive tool for the delivery of artistic message. Second, the intention where artists uses the photograph creates objective the branch is the thing with the new work of art. Third, The work form which applies photographic ready-made appears in form of the style which is various with collage and combine painting, silk screen, installation, poster and digital art etc.
Robert Rauschenberg destroyed a style and the seeking after truth which are traditional and it was a photograph and it used new object and it went over unlimitedly `expansions' it made all ideological setup of existing and the territory of the fine arts. And it presents the subject which new is an interpretation and transfiguration, this is joined together with "extension of aura". Andy Warhol with reproduction make the media which put a base in repetition with one artistic style, the artistic world of today more variously, it made. This compared to above is not the image which is reproduced, also 'the image of creations' which create different aura, namely "reproduction aura" is and it is creating new aura concepts. Christian Boltanski lead and double-faced and reconstitution of existence they do to make meaning of existence consider carefully. The reconstitution which uses the amateur photograph does to make disappear the original image progressively and the new value occurs spreads with a good application. Reconstitution only of oneself to lead and to do to make the continuous change of meaning bring, to make "deconstruction aura" and it is to be. Pedro Meyer complete the popularization of the digital work of art, they expand display value from cyberspace. The work of art of 'computer art museum' insides did and the spectator and kicks the location which is equal when where it stood and to be understood sympathy there made be a possibility of doing. This transformable aura from digital age, namely "digital aura" is a possibility of doing.
Like this photographic ready-made also with different medium combine from inside contemporary art and they are fabricated, they are changed and with the new work of art re-creation they become. It loses esthetic characters which re-created works of art have it origin like this and it is made to throw away and, this is being joined together with aura collapses. But Benjamin interprets like this aura collapses affirmatively. It will be caused by with advancement and mass reproductions of technique and the fact that the chance it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work of art is magnified. Namely aura is lost and it collapses and is not the fact that it disappears properly in one age paradigms with "transformation of aura" it is appearing.
- Author(s)
- 정민수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현대미술 현대예술 아우라 사진적 레디메이드 레디메이드 예술작품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37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497
- Department
- 국제대학원 영상학과
- Advisor
- 김용호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 론
1. 연구배경 1
2. 연구문제 및 연구목적 3
3.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 3
Ⅱ. 레디메이드의 이해
1. 반(反) 예술정신 5
2. 일상의 오브제 8
3. 팝아트와 대중매체 10
Ⅲ. 사진적 레디메이드의 전개
1. 현대예술과 사진 16
2. 예술작품의 아우라 상실 18
3. 레디메이드와 사진적 레디메이드 25
Ⅳ. 사진적 레디메이드와 아우라의 변형
1. 이미지와 오브제의 결합: 로버트 라우센버그 32
2. 비개성적 복제와 반복: 앤디 워홀 38
3. 사진과 기억의 재구성: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45
4. 디지털아트와 사진: 페드로 마이어 52
Ⅴ. 결 론 60
참고문헌 6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글로벌정책대학원 > 영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