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수산교육을 이용한 수산전문인력 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Proposal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hrough Fisheries Social Education
- Abstract
-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그동안 우리나라는 수산인력 확보를 위해 수산계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통해 인재를 육성해 왔으나, 수산업은 여러 가지 여건의 변화로 인해 부가가치가 낮은 산업으로 전락하고 있어 청장년층이 기피하는 업종 중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여태까지는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력의 대부분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공급되었으나, 최근에는 취업 선호도가 낮은 산업일수록 학교교육에 의한 인력 공급보다는 인력양성에 관한 사회교육기관에 의한 인력공급이 산업계의 요구를 충당하고 있는데, 수산업계는 더욱 심한 경우에 속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수산업 분야는 학교교육과 신규 취업자의 지식에 대한 사회요구가 큰 차이를 보임으로서 수산 기업에 취업하는 신규직원의 직업 수행능력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직업에 대한 이해의 수준이 낮은 게 사실이다. 그리하여 현행 학교의 직업교육은 현장과 바로 연결되는 경우가 취약할 뿐만 아니라 산업사회의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는 경직된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인하여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전문화된 인력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교육기관에 의한 전문 인력양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의 사회교육기관에 의한 전문 인력양성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함으로 인하여 전문 인력양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행 사회교육기관에 의한 전문 인력양성의 문제점을 짚어본 후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수산전문인력 양성의 활성화를 기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현재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어업종사자 및 어업경영인을 대상으로 사회교육기관에서의 교육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한 응답자의 직종은 연근해어업 등 어선어업에 종사하는 자와 양식어업에 종사하는 어업자로서 각각 200명과 94명으로 총 29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응답자의 34.4%가 50대로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40대가 25.5%, 60대가 18.4%, 30대가 12.6%, 70대 이상 7.1%, 20대 2.0%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50대 이상이 59.9%의 비율에 비해 30대 이하 14.6%로 나타나 고령화비율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어 젊은 층의 수산인력 수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수산 기술 수준에 대한 응답으로서 어업경영설계 및 진단기술수준이 보통이하이라고 답한 경우가 77.9%였으며, 컴퓨터 활용 및 인터넷판매기술에 대해 91.5%가 보통이하라고 답하였고, 특히 완전초보수준이라고 답한 경우가 59.2%로 어업자 대부분이 컴퓨터 활용 및 인터넷판매기술 수준이 아주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수산 환경에 대비하는 새로운 프로그램과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어업인들이 사회교육기관에서 시행하는 수산교육에 참가하지 못하는 큰 장애요소는 생업에 지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교육장이 생업장소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교육내용의 만족도에서도 생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29%, 생업에 도움이 된다가 32.6%로 약 70% 이상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을 받는 시기가 생업에 지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43%가 생업에 지장을 받는다고 답하였다. 따라서 생업지역과 가까운 지역에서의 새로운 수산직업교육원의 설립이 요청되는 바이다.
넷째, 교육장의 시설이나 교육기자재 만족도 조사에서 교육장시설의 경우 39.4%가 만족으로 대답하였으며, 교육기자재 구비의 경우에는 22.7%가 만족이라고 응답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교육생 60% 이상이 교육장의 시설이나 교육기자재 구비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수산교육환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어업인들의 사회교육기관에서의 교육내용 만족도 조사에서는 반 이상이 보통이하라고 답하여 현재의 수산교육이 어업인들에게 그다지 만족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이 실제 수산정보에 도움이 되는 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41.1%가 만족으로 답하였으며, 앞으로 수산전문인이 되기 위한 필요 교육과정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인터넷판매기술 과정이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앞에서 밝힌 자신들의 기술수준 취약점이 컴퓨터 활용 및 인터넷 판매기술이라고 답한 경우와 일치하기에 현실에 부응하는 교육내용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2. 결론
사회교육을 이용한 수산전문인력의 확보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된 본 연구는 기존 어업인들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나타난 사회교육을 이용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로서 사회교육기관을 이용한 수산전문인력의 양성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하는 어업환경의 특징과 이에 요구되는 수산인의 자질과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수산인력을 육성할 수 있는 교육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수산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재정적,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각 부처 간의 긴밀한 협조체제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수산분야의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습득 할 수 있는 맞춤식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이 가능한 직업교육원의 설립이 요구된다. 수산직업교육원은 기존의 수산인을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 프로그램과 신규인력의 양성을 위한 신규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등의 두 가지 교육프로그램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교육시설과 인력은 기존의 학교나 교육원의 교육시설이나 인력을 이용하는 방안으로 진행된다면 비용의 최소화를 도모하면서 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산인에 대한 교육내용의 내실화가 요구된다. 기존의 수산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재교육은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이라기보다는 다양한 분야를 개괄적으로 습득하거나 경험하는 등의 전시적인 면이 많아서 교육자의 흥미와 자발성을 유도하기가 쉽지 않다. 이제는 교육내용도 공급자의 측면에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체제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교육기관의 다양화는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은 서로 구별 없이 학생과 수산인 모두에게 개방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으며, 훈련프로그램의 다양화는 교육훈련기관별로 제공 가능한 특성 있는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내용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훈련가를 양성하여야 한다.
Abstract
Fisheries Social Education is being achieved through Fisheries HRD Center, Korea Maritime Institute, city, and provincial Fisheries Office, the nation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Venture College, and the advanced management program of fisheries universities.
The education programs are mostly focused on fishermen who are engaged in the fisheries industry that usually takes place in the ocean. However, they have not satisfied the fishermen since there are difficulties conducting education programs like the off the Job Training to hand over the skills for fishermen. Therefore, it would cause lack of education for fishermen.
The systematic education for technology requires a long?term training, but the fishermen who work in the fisheries industry can not make enough time and also they are not expected to have an adequate knowledge to receive profession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 aspects have been required to conduct the education program from social institutes of fisheries education that will be solving not only the time management problem, but also an educational training system that the fishermen would demand.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research on the changing features of fishery environment and the qualifications for fishermen who the new environment needs. Based on this study, building the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suitable for training fishery human resources is necessary in the 21th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To train the Fishery experts systematically,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essential, and the collaboration of related departments is mostly needed for them.
Secondly, Establishing a vocational training center that could offer the proper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 which the fishermen need is required.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 could be managed into 2 programs. one of them is re-education program for existing fishermen, and the other is cultivation program for new fishermen. Regarding the cost and human resources for those programs, It will be the most effective way using the facilities and people from the established school or institutes.
Lastly, it is needed to ensure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existing re-education program for fishermen was more likely to focus on showing up education, rather than systematical or practical. Thus, it was not easy to attract the interest and spontaneity of educators. Therefore, From now on, the contents of educating system should have change not only on the side of educators but also reflecting the educatee's requirements. And for these changes, the variety of education programs and institutes are essential. On the case of variety of educational institutes, It could be solved by opening the course to all the fishermen and students. And for the diversity of programs, it will be settled by providing the individual training program of each education institute. Educating the experts is necessary for the advancement of educational contests.
- Author(s)
- 김흥철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수산교육 수산전문인력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37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447
- Alternative Author(s)
- Heung-Chul, Kim
- Department
- 대학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 Advisor
- 박종운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수산전문인력양성에 관한 일반적 고찰 5
1. 사회수산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선행연구의 검토 5
가. 사회수산교육의 의미 5
나. 사회수산교육의 역할 6
다. 수산전문인력의 범위 6
라. 수산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 8
2. 학교교육에 의한 수산전문인력 확보의 한계 11
가. 수산계 대학 11
나. 수산계 고등학교의 전문인력 양성의 한계 14
다. 수산계 학교 졸업생의 취업 전망 15
3. 사회교육기관을 이용한 전문인력 양성현황 17
가. 직업재교육의 법적 근거 17
나. 산업사회의 변혁과 전문인력 양성 추세 20
다. 우리나라 사회수산교육의 현황 22
Ⅲ. 연구 방법 38
1. 연구 대상 38
2. 조사 방법 39
3. 자료의 회수와 분석 40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41
1.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41
2. 응답 어업인의 수산기술 수준 42
가. 어선어업분야 42
나. 양식어업분야 43
다. 어선어업과 양식어업 공통 44
3. 사회수산교육의 이수 현황 및 요구 45
가. 사회수산교육 이수 현황과 만족도 45
나. 수산교육에 대한 종합평가 50
4. 수산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 52
5. 수산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53
가. 교육환경 53
나. 교육 프로그램 55
다. 수산전문인력이 되기 위한 필요 교육과정 56
6. 자료 분석을 통한 시사점 57
가. 수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 57
나. 수산업인력 육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 63
다. 수산인력 양성 과정상의 활성화 방안 68
Ⅴ. 요약 및 결론 73
1. 요약 73
2. 결론 75
참고 문헌 77
부록- 설문지 79
감사의 글 8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