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교구를 활용한 회전체 단면 교육에 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eaching Cross Section of Solid of Revoluition through Mathematical Tools
-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 회전체 단면 개념 형성을 위한 교구가 수업의 흥미도 및 문제해결력 신장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행하고자 한다.
1. 현재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 사용되어지는 선행 교구의 장단점을 파악한다.
2. 회전체 단면 개념 형성에 도움이 되는 교구를 새롭게 제작한다.
3.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4개의 반을 선택하여 2개의 반은 새로운 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하는 실험반과 2개의 반은 기존의 연구 된 교구(그래픽 중심)를 활용한 수업을 하는 비교반으로 구분한다.
4. 수업을 한 후, 두 집단의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문제해결력을 검사를 한 후 두집단을 비교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교구(회전체 단면 개념 형성)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연구반의 수업 흥미도가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회전체의 단면에 대한 문제해결력도 수학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연구반이 비교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In this thesis we examine the effect of mathematical tools in teaching the cross section of body of revolation for students interest as well as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study is performed as follows;
1. We study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body of revolution as a the teaching aids.
2. We implement the new body of revolution to improve the students' interest level and problem-solving ability for the concept of its cross section.
3. Four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re chosen: the one group of two applied classes using as the new-version tool, and the other group of two comparative classes using the old-version tool.
4. We compare the students' interest and problem-solving ability for the two groups .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interest of the applied class using the new body of revolu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class. In asp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the applied class using the new body of revolution is superior to the comparative class.
- Author(s)
- 김종길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회전체 단면 입체도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37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386
- Alternative Author(s)
- Jong Gil Kim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전공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전공
- Advisor
- 이규명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6
3. 연구의 방법과 절차 8
4. 연구의 제한점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수학교구 제작의 필요성 10
2. 선행 연구 분석 14
Ⅲ. 연구 방법 25
1. 교구 제작의 기초 연구 25
2. 교구 제작의 특징과 필요성 30
3. 연구 대상 및 기간 31
4. 연구의 설계 32
5. 자료 분석 및 통계적 처리 34
6. 연구 절차 35
Ⅳ. 연구 과제의 실행과 결과 분석 36
1. 연구 과제 실행과 결과 36
V. 결론 및 제언 46
1. 결론 46
2. 제언 47
※ 참 고 문 헌 4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수학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