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을 통한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Recently, Seoul is selected as World Design Capital (WDC). It showed that there was a great development in Korean design field. To achieve this development, Korean design education has made a large contribution. Korean specialized high schools’ objective of education is different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objective of education which is the training of technicians by focusing on specialized education considering to students’ aptitude and talent, but many people confuse the former with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starts from a precedent study that schools which have different objectives of education have a sam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focuses on skills from the basic art education. Johannes Itten’s basic plastic education which develops students’ sensitivity, intelligence and imagination suggests the changing the way of thinking in design field and it has a differentiation with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focus on only practicality. This study researched the importance of the basic plastic and Johannes Itten’s teaching methods through his basic plastic education. The research is carried out with design education’s curriculum and cont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Busan city comparing with the basic plastic education.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referenced by the study of important basic plastic education and the way to improve the design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uthor(s)
진민애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41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466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Advisor
홍동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6
Ⅱ. 이론적 고찰 8
1. 기초조형교육 8
기초조형교육의 중요성 8
2.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 11
가. 요하네스 잇텐의 생애 11
나.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 14
(1) 명암 16
(2) 색채 17
(가) 색상대비 18
(나) 명도대비 19
(다) 한난대비 19
(라) 보색대비 20
(마) 동시대비 20
(바) 채도대비 21
(사) 면적대비 21
(3) 재료와 질감 21
(4) 형태 22
(5) 율동 23
다.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이 현대 디자인교육에 미친 영향 25
Ⅲ 특성화고등학교 기초 조형 교육 현황 및 분석: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중심으로 27
1.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 관련학과 현황 29
2.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조형 관련 교과 현황 32
3.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조형 관련 교과서 내용 35
가. 디자인일반 35
나. 색채관리 46
Ⅳ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을 통한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조형 디자인교육 연구 56
1. 잇텐의 기초조형에 연계한 교과 과정 56
가. 바이마르 바우하우스의 교과과정 57
나. 특성화 고등학교 기초조형교과 교과과정 59
(1) 부산디자인 고등학교 59
(2) 부일전자디자인 고등학교 60
(3) 대진정보통신 고등학교 60
(4) 대연정보 고등학교 61
(5) 부산컴퓨터과학 고등학교 61
(6) 한국테크노과학 고등학교 61
(7) 계성정보 고등학교 61
(8) 동호정보 고등학교 62
(9) 부산문화여자 고등학교 62
다. 교육 과정의 분석 63
2.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에 연계한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조형 디자인교육 연구 65
가. 형태 65
(1) 특성화 고등학교 65
(2) 요하네스 잇텐 69
나. 색채 74
(1) 특성화 고등학교 74
(2) 요하네스 잇텐 75
다. 질감 79
(1) 특성화 고등학교 79
(2) 요하네스 잇텐 81
3.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조형 디자인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85
Ⅵ. 결론 88
참고문헌 9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