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참굴 Crassostrea gigas 및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발생배 냉동보존을 위한 결빙억제제의 탐색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참굴 및 참전복 발생배의 냉동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난발생, CPA침지후 발생배 활성 조사, 발생진행률 및 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CPA별, 농도별 침지후 발생배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먼저 참굴에서 EG 0.1 M에 D형 유생에 침지하였을 때, LAI가 3.4±1.4로 가장 높았으며, DMSO 2.0 M에서 1.9±0.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참전복에서는, 담륜자를 침지하였을 때, DMSO 0.1, 0.5, 1.0 및 2.0 M의 LAI가 각각 2.2±0.2, 1.9±0.1, 1.7±0.1 및 1.4±1.4로 나타났으며, EG에서, 2.7±1.3, 2.1±0.1, 1.8±0.1 및 1.5±1.4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실험구에서 이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LAI는 CPA의 농도가 높을수록 LAI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PA침지후 참전복 발생배의 발생단계별 발생진행률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의 결과, 각각의 CPA에 4세포, 상실배, 담륜자 및 피면자 유생을 침지하였을 때, CPA농도가 낮을수록, 침지시간이 짧을수록, 발생진행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PA종류 및 발생단계에 따라 발생진행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CPA별 침지후 발생진행률은 DMSO와 PG에서 발생진행률이 각각 90.8±0.4, 84.6±0.6%로 EG, PEG의 발생진행률인 97.8±1.4, 99.1±0.1% 보다 낮았다. 또한, CPA중 PEG에 상실배를 10분간 침지한 후의 발생진행률이 99.1±0.1%로 가장 높았다. CPA침지 시간별 발생진행률의 결과, EG 0.1, 0.5, 1.0 및 2.0 M에 10분간 침지 시, 발생진행률이 80.8±1.5, 97.8±1.4, 95.1±0.5 및 94.3±1.1%로, 30분간 침지 시 발생진행률 60.5±0.4, 80.0±0.9, 75.8±1.1 및 85.4±1.2%보다 높음을 알 수 있어, CPA침지시간이 짧을수록, 발생진행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CPA침지후 발생단계에 따른 발생진행률 결과, PG의 경우 4세포, 상실배, 담륜자 및 피면자 유생의 평균 발생진행률이 각각 51.2±0.8, 79.3±1.3, 84.6±0.6 및 88.7±0.9% 로 발생이 점점 진행될수록 발생진행률이 높았다.
냉동·해동후 참굴 및 참전복 발생배의 생존율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에서, 참굴에서, 담륜자를 사용한 실험구는 CPA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냉동·해동후 발생배의 생존율이 높았다. 그리고 DMSO와 PG를 사용한 실험구보다 EG을 사용한 실험구가 CPA농도에 상관없이 발생배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담륜자를 사용한 실험구에서 EG 1.0, 2.0 M에서, 각각 54.1±3.3%와 63.1±2.3%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그 외의 농도 EG 0.1, 0.5 M에서는 50% 미만의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D형 유생에서도 담륜자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D형 유생에서 EG 2.0 M에서 88.8±4.2%의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륜자와 D형 유생의 냉동·해동후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D형 유생의 생존율이 담륜자 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참전복의 경우, 담륜자 및 피면자 유생을 사용한 모든 실험구에서 냉동·해동후 발생배가 모두 폐사하였다.
Author(s)
정종균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4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486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Advisor
장영진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ⅲ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5
1. 난발생 및 발생단계 조사 5
(1) 참 굴 5
(2) 참전복 5
2. 결빙억제제 침지후 발생배의 활성 8
(1) 참 굴 8
(2) 참전복 12
3. 냉동·해동후 발생배의 생존율 12
(1) 참 굴 12
(2) 참전복 16
4. 통계처리 20

Ⅲ. 결 과 21
1. 난발생 및 발생단계 조사 21
(1) 참 굴 21
(2) 참전복 21
2. 결빙억제제 침지후 발생배의 활성 26
(1) 참 굴 26
(2) 참전복 26
3. 냉동·해동후 발생배의 생존율 31
(1) 참 굴 31
(2) 참전복 37

Ⅳ. 고 찰 39

Ⅴ. 요 약 42

감사의 글 44

참고문헌 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