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교재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Korean Textbook for Married Female Immigrant in order to improve their Korean Sills Required as a Shool Parent
Abstract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교재 연구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을 중심으로-


1990년대에 본격화된 외국인 여성과 한국인 남성의 국제결혼이 2000년대에 들어와 해가 거듭될수록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 따라 이들을 위한 복지정책이나 한국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고, 학계에서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연구는 초기 정착단계에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측면이 강하다. 반면 초기 정착 시기가 지난 기초적인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자녀를 둔 여성 결혼 이민자들의 요구가 반영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에 대한 요구와 기존 교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대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성 결혼 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현재 한국어 교육계에서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맞춤형 교재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초기 단계라서 미흡함이 많음을 알았다.
2장에서는 여성 결혼 이민자와 다문화 가정 자녀 현황을 살피고,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서 이들이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로 하는 읽기 텍스트가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자녀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어휘가 있는 텍스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치원 및 학교생활 관련 어휘가 있는 텍스트’와 ‘선생님과의 상담 관련 텍스트’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분석한 결과에서 알 수 있었던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요구하는 읽기 텍스트가 기존 한국어 교재에 어느 정도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 한국어 교재에 있는 읽기 텍스트가 가진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기존 교재에 있는 읽기 텍스트는 지나치게 일반적인 ‘한국 문화’와 관련된 텍스트로 편중, 자녀 교육과 직접 관련된 텍스트가 부족, 텍스트 읽기 후 활동이 자녀 교육과 연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개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맞춤형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맞춤형 교재의 일환으로 다양한 읽기 텍스트를 통한 읽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여성 결혼 이민자의 요구분석이 반영된 다양한 읽기 텍스트를 선정해야 한다. 넷째, 텍스트 읽기 전 ․중․후 활동이 자녀 교육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제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을 4장에서 제안하였다. 우선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구성에 대한 제안을 하고 그 다음 읽기 텍스트 대분류 유형 각각의 읽기 텍스트를 대표하는 하나의 실제 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모형은 앞서 살펴본 설문 분석 결과 비중이 높고 기존 교재에서 부족한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그 다음 이 텍스트를 앞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각각 어떤 활동으로 구성해 나가야 하는지를 실제 모형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한계점과 의의를 기술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된 맞춤형 교재 개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uthor(s)
신미진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여성 결혼 이민자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47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376
Alternative Author(s)
Shin, Mi J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Advisor
조미정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대상과 방법 4
3. 선행 연구 검토 6

Ⅱ. 여성 결혼 이민자의 현황과 요구 조사 13
1. 여성 결혼 이민자와 다문화 가정 자녀 현황 13
가. 여성 결혼 이민자 현황 13
나. 다문화 가정 자녀 현황 14
2. 학부모로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여성 결혼 이 민자의 요구 조사 17
가. 요구 조사 절차 및 방법 17
나. 여성 결혼 이민자 기본 배경 조사 결과 분석 23
다.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요구 조사 분석 38

Ⅲ.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분석 및 과제 52
1.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기존 한국어 교재 분석 53
가.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분석 기준 53
나.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분석의 실제 56
2.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과제 69
가. 기존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분석 결과 69
나.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개발 과제 73
Ⅳ.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 78
1.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구성에 대한 제안 78
가. 유치원 및 학교생활 관련 어휘가 있는 텍스트 78
나. 자녀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어휘가 있는 텍스트 79
다. 유치원 및 학교 활동 관련 텍스트 81
라. 한국 문화 관련 텍스트 82
마. 선생님과의 상담 관련 텍스트 83
바. 자녀 생활 지도 관련 텍스트 84

2.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내용 실제 모형 제시 85
가. 을 활용한 읽기 85
나. 를 활용한 읽기 89
(1) 를 활용한 읽기 89
(2) 을 활용한 읽기 92
다. 을 활용한 읽기 95
라. 를 활용한 읽기 ․99
마. 을 활용한 읽기 103
바. 를 활용한 읽기 106

Ⅴ. 결론 110
■ 참고 문헌 ■ 113
■ 부록 1 ■ 118
■ 부록 2 ■ 14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