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C(Balanced Scorecard) 지표 수립이 업무관련도 인식 및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SC's Indicators Influence Awareness of BSC's Task Relevance and its Understanding: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 Abstract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BSC 제도의 바람직한 정착과 운용에 기여하고자 기존의 개념적 연구결과와 실증적 연구들을 토대로 부산광역시의 BSC 관점별 지표수립과 조직 구성원들의 BSC 업무 관련도 인식 및 이해도에 대한 유의미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BSC 지표의 수립이 BSC 업무 관련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 BSC 업무 관련도 인식이 BSC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Author(s)
- 김동호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BSC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52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774
- Alternative Author(s)
- Kim, Dong H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 Department
- 경영대학원 경영학과경영학전공
- Advisor
- 김하균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가. 연구배경
나.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
가. 연구의 방법
나. 연구의 구성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1. BSC(균형성과표)에 대한 개념
가. BSC의 도입 배경
나. BSC의 필요성
다. BSC의 구성 체계
2. 공공부문의 BSC 적용에 관한 연구
가.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나. 성과평가제도의 업무관련도 및 이해도
3.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가. 연구 모형의 설계
나. 연구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가. 자료수집
나. 분석방법
다. 표본의 특성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가. 변수의 조작적 정의
나. 요인분석 및 신뢰도ㆍ타당도 분석
다. 구성개념들 간의 상관관계
Ⅳ. 연구 결과
1. BSC 지표의 수립과 BSC 업무관련도 인식의 관계
2. BSC 업무관련도 인식과 BSC 이해도의 관계
3. BSC 지표수립 및 업무관련도 인식과 이해도의 관계
Ⅴ.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경영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