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mechanisms of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accompanied with the Changma front in 9-10 July 2007
- Alternative Title
- 2007년 7월 9-10일 장마전선에서 발생한 중규모 대류시스템의 발달 메커니즘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2007년 7월 9-10일 한반도 중부 및 남부 지방에 각각 발생한 중규모 대류계의 강수시스템 발달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하여, MTSAT-1R 위성 자료, 고층관측자료, 자동기상자료를 이용한 종관장 분석과 3대의 도플러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바람장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Ⅰ에서 중규모 대류계는 meso-α 크기를 가지며, 장마전선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한반도 중부지방(군산)에 일 누적 강수량 123mm를 기록하였다. 중규모 대류계는 층운형 구름 내부에서 흩어진 형태를 보이며 온난전선의 북쪽에서 발달하여 한반도 지역으로 유입하였다. 장마전선에 동반된 저기압의 영향으로 사례 Ⅰ의 경우, 수평 및 수직 윈드쉬어가 크게 나타남을 보였다. 레이더 분석에서, 중규모 대류계는 병합, 발달, 소멸의 단계를 보였고 발달 단계에서 최대 40 dBZ 이상의 반사도를 보였으며 라인형으로 약 240 k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중 바람장 분석에서 강한 대류셀 (≥ 40 dBZ) 후면과 전면으로 수평 쉬어라인이 형성 되었고 이후에 새로운 대류셀이 후면에 생성 되었다.
사례 Ⅱ에서 중규모 대류계는 약 80 km로 meso-β 크기를 가지며, 장마전선을 따라 각각의 독립된 대류셀이 한반도 남부 지방에 지나가며 일 누적 강수량 20 mm를 기록하였다. 한랭전선의 전면에 위치하여 단시간에 급격히 발달하는 형태를 보였다. 레이더 분석에서 중규모 대류계는 해양에서 발달하여 레이더가 위치한 고산을 지나 병합되어 최대 45 dBZ 이상의 반사도를 나타내었다. 이중 바람장 분석에서 사례 Ⅰ과는 다르게 대류계 주변으로 남서풍의 일정한 풍향을 보였다. 윈드쉬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규모 분석에서 습하고 따뜻한 남서풍의 바람이 대류계의 강한 부분으로 유입되어 단시간에 높게 발달하는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장마전선에서 발달한 중규모 대류계의 두 사례를 통해 전선의 이동속도, 풍향, 풍속 및 수평 및 수직 바람쉬어 등에 의해 발달 메커니즘이 각각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Author(s)
- 정종훈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MCSs Changma front Doppler radar Korean peninsula Wind shear Moisture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53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787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 Department
- 대학원 환경대기과학과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1
1. Introduction 3
2. Data and method 5
2.1 Observation data 5
2.2 Analysis method 6
2.2.1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of radar data 6
2.2.2 Three-dimensional variational method 7
3. Result 9
3.1 Precipitation distribution 9
3.2 Synoptic and sub-synoptic environment 12
3.2.1 Synoptic scale condition 12
3.2.2 Environment and structure of the front 14
3.2.3 Analysis of vertical structure of the front 17
3.3 Wind and thermodynamic environment 20
3.4 Radar analysis 23
3.4.1 Structure and development processes 23
3.4.2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convective systems 30
4. Summary 36
References 40
Acknowledgements 4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환경대기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