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mushroom by product Pleurotus ostreatus as 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치어기 메기 Silurus asotus 에 있어 발효느타리버섯 Pleurotus ostreatus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내 어분대체 및 첨가 효과에 관한 연구
Abstract
요 약 문


본 논문은 국내 주요 양식 어종인 메기에 있어서 사료내 발효 느타리버섯 부산물의 어분 대체원으로서의 효과 및 첨가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총 8주간 진행되었고 증체율을 통한 Broken line analysis의 결과 치어기 메기 사료내 어분은 7.2%까지 대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으며, 또한 치어기 메기 사료내 첨가효과는 0.12%일 때 최대의 증체율을 보인다고 판단되었다.

실험 1: 치어기 메기 사료내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 느타리버섯 부산물의 평가

본 실험은 메기 치어에 있어서 사료내 어분 대체원으로서 발효된 느타리버섯 부산물(fermented mushroom by product, FMBP)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 종료 후 성장도, 혈액 및 혈청학적 분석, 체성분 조성 및 면역반응을 조사하였다.
평균무게 5.7 ± 0.1g (mean ± SD) 인 메기 치어를 8주 동안 사육하였고 실험사료는 사료내 어분을 FMBP로 대조구(0% 대체), 5, 10, 20, 30%씩 대체하여 총 5가지 수준의 실험사료(FMBP0, FMBP5, FMBP10, FMBP20, FMBP30) 를 제작하였다. 실험원인 FMBP는 조단백 42.5%, 조지방 0.3%, 회분 8.2%였으며, 발효과정은 유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30°C에서 24시간 발효시켰다. 실험 사료의 주 단백질원으로 국내산 참치어분(Korean's tuna meal, KTM), 탈피대두박(dehulled soybeen meal, DSM),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CGM), 오징어간분(squid liver powder, SLP), 육분(meat meal, MM)을 사용하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47%, 가용에너지는 16.0kJ/k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설계하였다.
2주간의 예비사육을 거친 후 사육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어는 평균무게 5.7±0.1g(mean±SD)인 메기치어를 40 L 사각수조에 각 실험구당 15마리씩 무작위로 3반복 배치하였다. 각 실험수조는 순환여과식으로 유수량 1 L/min 으로 조절하였으며, 일일 사료 공급량은 전 실험기간동안 1일 어체중의 3~4 %를 2회에 나누어(10:00, 20:00) 공급하였다.
총 사육실험은 8주이며, 실험 종료 후 FMBP0, FMBP5 및 FMBP10구들의 경우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단백질 전환효율 및 간중량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FMBP20 및 FMBP30구들은 FMBP0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성장 및 효율을 보였다. 혈액 및 혈청학적 분석결과 헤마토크릿의 경우 FMBP0 ~ FMBP20구들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헤모글로빈은 FMBP5구가 FMBP0, FMBP10 및 FMBP20구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청내 총 단백질 및 글루코스의 경우 FMBP0구가 FMBP5 ~ FMBP30구들보다 유의하게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질병 저항성 조사항목 중 라이소자임 활성의 경우 FMBP0, FMBP5구들에서 FMBP10 ~ FMBP30구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고 Chemiluminoscent response의 경우 FMBP5 ~ FMBP20구들에서 FMBP0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전체 실험구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증체율을 토대로 한 Broken line analysis의 결과 FMBP구는 메기치어 사료내 어분단백질을 7.2%수준 까지 대체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 2 : 치어기 메기 사료내 첨가제로서 발효한 느타리버섯 부산물의 평가

본 실험은 메기 치어에 있어서 발효된 느타리버섯 부산물(fermented mushroom by product, FMBP)의 사료내 첨가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 종료 후 성장도, 혈액 및 혈청학적 분석, 체성분 조성 및 면역반응을 조사하였다.
평균무게 5.7 ± 0.1g (mean ± SD) 인 메기 치어를 8주 동안 사육하였고 실험사료는 사료내 FMBP를 대조구(0%), 0.1, 0.2, 0.4, 0.8%씩 첨가하여 총 5가지 수준의 실험사료(FMBP0, FMBP0.1, FMBP0.2, FMBP0.4, FMBP0.8)를 제작하였다. 실험원인 FMBP는 조단백 42.5%, 조지방 0.3%, 회분 8.2%였으며, 발효과정은 유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30°C에서 24시간 발효시켰다. 실험 사료의 주 단백질원으로 국내산 참치어분(Korean's tuna meal, KTM), 탈피대두박(dehulled soybeen meal, DSM),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CGM), 오징어간분(squid liver powder, SLP), 육분(meat meal, MM)을 사용하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47%, 가용에너지는 16.0kJ/k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설계하였다.
2주간의 예비사육을 거친 후 사육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어는 평균무게 5.7±0.1g(mean±SD)인 메기치어를 40 L 사각수조에 각 실험구당 15마리씩 무작위로 3반복 배치하였다. 각 실험수조는 순환여과식으로 유수량 1 L/min 으로 조절하였으며, 일일 사료 공급량은 전 실험기간동안 1일 어체중의 3~4 %를 2회에 나누어(10:00, 20:00) 공급하였다.
총 사육실험은 8주였으며 실험 종료 후 증체율, 일간성장률의 결과 FMBP0.1, FMBP0.2구들이 FMBP0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성장을 보였다. 사료효율과 단백질 전환효율은 FMBP0.2구에서 FMBP0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혈액 및 혈청학적 조사결과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총 단백질함량 및 글루코스의 경우 FMBP0.8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들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FMBP0.8구의 경우 다른 모든 실험구들 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질병 저항성 조사 중 라이소자임 활성의 경우 FMBP0.1구에서 다른 모든 실험구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고 Chemiluminoscent response의 경우 FMBP0.2 ~ FMBP0.8구들이 FMBP0, FMBP0.1구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간중량 지수와 생존율의 경우 전 실험구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증체율을 토대로 한 Broken line analysis의 결과 메기치어 사료내 0.12%의 FMBP첨가는 최적의 성장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되었다.
Author(s)
윤용현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catfish replacement fermented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54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795
Alternative Author(s)
Yong-hyun, Y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Advisor
배승철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II.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mushroom by product Pleurotus ostreatus as a fish meal replacer in juvenile Amur catfish Silurus asotus
Abstract 3
Introduction 5
Materials and methods 7
Results 14
Ⅲ.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mushroom by product Pleurotus ostreatus as an additive in juvenile Amur catfish Silurus asotus
Abstract 33
Introduction 35
Materials and methods 37
Results 44
Ⅳ. Discussion 63
Ⅴ. 감사의 글 69
Ⅵ. References 7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