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analysis of long-term chang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Alternative Title
- 공간정보를 이용한 장기간의 낙동강 하구 지형변화 분석
- Abstract
- 본 연구는 부산에 낙동강 본류의 종착 지점에 위치한 하구역 해안섬 일대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공간정보를 이용해 하구역 해안섬 들의 변화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을 하고자 한다.
낙동강 하구 연안은 세계적인 철세 서식지와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기수지역으로 종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생태학적 중요지 이다. 하지만 인위적인 개발과 간척사업 등으로 인해 철새들의 먹이 감소와 해안섬이 변화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파악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량적 분석이 필요 하나 지역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고자 원격탐사가 가능한 다시기의 위성영상과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하구섬 들의 면적변화에 따른 낙동강 본류지역의 토양유실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해보았다. Landsat 영상을 이용해 다년간의 지형변화를 관찰하였고, GIS를 이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변화 경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미래해안선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본류에서 유입되는 토사량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토양유실량을 산정하여 해안섬 들의 면적변화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75년 이후 2009년 기간 동안의 시기별 해안섬 수치지도를 제작하였으며, 면적분석 결과 진우도는 태풍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 일정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신자도는 북서 방향으로 연 18.4m 이동하며 면적이 증가하였고, 도요등은 북동 방향으로 이동하며 면적이 증가 하였다. 또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2015년 해안선을 예측한 결과 진우도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신자도는 섬 우측의 북진과 도요등은 전체적인 북진을 나타내었고 다대포 해안 또한 일정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섬 면적의 변화와 1995부터 2005년 사이의 낙동강 본류의 토양유실량을 비교해본 결과 섬 주변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는 진우도는 상관계수가 0.57로 가장 적었고 현제 주된 수로의 영향을 받는 도요등의 경우 0.87로 상관성이 뛰어났다. 인위적인 변화에 의해 낙동강의 지형 변화가 나타나지만 현재 주된 수로가 흐르는 도요등 일대의 변화는 자연적인 퇴적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낙동강의 연안 사주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것이며 연안탐지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Author(s)
- 오치영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낙동강 GIS 위성영상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58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840
- Alternative Author(s)
- OH, Che Yo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위성정보과학과
- Advisor
- 최철웅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1.1. Research background 1
1.2. Research trends 3
1.1. Study Method 9
1.1.1 Study Area 9
1.1.2 Research Methods 10
2. Change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12
1.1. Analysis of costal topography change 12
1.1.1. Collection and analysis of Landsat image 12
1.1.2. Shoreline Extraction 17
1.1.3. Seasonal changes in the mouth area of the island 21
1.1.4. Weight shift of island 22
1.2.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26
1.2.1. Estimation of shoreline change rate 27
1.2.2. Comparative study 33
1.2.3. Prediction of future coastline 35
3. Soil Loss in Nakdong River 38
1.3. Thematic mapping 40
1.3.1. R factor 41
1.3.2. K factor 42
1.3.3. LS factor 43
1.3.4. C factor & P factor 44
1.4. Result of soil loss 47
1.5. Estuary correlation analysis of terrain and soil loss 49
4. Conclusion 51
References 5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위성정보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