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SST in the Nearby Korean Seas using NOAA/AVHRR data
- Alternative Title
- NOAA/AVHRR 자료에 의한 한국근해 표층해수온의 시공간분석
- Abstract
- 1985~2009년 동안 한국근해 해수면 온도의 시․공간변화특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기상청이 운영하는 해양관측부이 8곳과 위성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제곱평균오차는 0.49~1.76℃로 변하였는데 연안으로 갈수록 크게 나타났고, 편차는 -0.90~3.22℃까지 변하고 연안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연구해역은 일본기상청에서 나눈 방식에 따라 7해역으로 구분하였다. NOAA/AVHRR 자료를 사용하여 각 해역의 중점을 비교․분석하였다. 25년 동안 연구해역의 수온은 0.0272℃/년의 크기로 상승하고 있었다. 한국주변해역이 가장 더웠던 때인 1998년 전후의 수온변동에서 1985~1998년에는 0.0628℃/년의 상승을 보였고, 1998~2009년에는 -0.0559℃/년의 하강을 보였다. 조화분해에서 평균해수표면온도는 8∼26℃의 변화를 보였고, 연진폭은 7~24℃의 변동을 보였다. 그리고 연위상은 7월 27일~8월 26일의 범위를 보였다. 평균해수면온도는 일반적으로 위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연진폭은 평균해수면온도와 반대로 나타났고, 연위상은 대륙성기후를 보이는 해역이 해양성기후를 보이는 해역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조화분해에 의한 표면수온, 연진폭, 연위상의 연 변동에서 표면수온과 연진폭은 위도가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고, 연위상은 위도와 관계없이 변동이 균일하게 나타났다. 각 해역의 교차상관계수는 표면수온, 연진폭, 연위상이 각각 0.57~0.85, -0.04~0.81, 그리고 0.35~0.80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한 지점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관관계가 낮아졌다.
- Author(s)
- 민승환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NOAA/AVHRR data Korean Seas Harmonic Analysi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59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848
- Alternative Author(s)
- Min, Seung Hwa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dvisor
- 윤홍주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1
1. Introduction 3
2. Data and Methods 7
2.1. Data 7
2.1.1. NOAA/AVHRR data 7
2.1.2. Buoy data 11
2.2. Methods 13
2.2.1. Buoy's Quality Control (QC) 13
2.2.2. Harmonic analysis 14
3. Results and Discussions 16
3.1. Matchup the buoy and satellite data 16
3.2. SST variations by harmonic analysis 23
4. Conclusions 35
Reference 3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