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규칙기반 시스템에 사용되는 규칙 간소화 알고리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ule Case Simplification Algorithm to be used in a Rule-Based System
Abstract
다양한 업무요소들의 값의 조합에 따라 대상 값이 결정되는 것을 규칙이라고 한다. 업무를 표현한 기업의 정보시스템은 이러한 수많은 규칙들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규칙들을 구현한 서버 시스템을 규칙기반 시스템이라고 한다. 규칙기반 시스템은 규칙 엔진 기법을 사용하거나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규칙 엔진 기법은 많은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대부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규칙기반 시스템을 구현한다. 업무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하게 될수록 수많은 다양한 경우의 규칙이 존재하게 되므로 시간과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대량의 저장공간을 요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행속도의 저하 현상도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많은 경우의 규칙들을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간소화된 경우의 규칙들로 변환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가지고 다양한 업무 규칙 데이터에 적용하여 테스트한 결과 데이터 건수를 간소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업무 규칙 데이터를 간소화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 규칙기반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A rule is defined as a case to determine the target values according to combination of various Business factors. The information system is used to represent enterprise’s business, which includes and implements the amount of these rules to Rule-Based System. A Rule-Based System can be constructed by using the rules engine method or Relational Database technology. Because the rules engine method has some disadvantages, the Rule-Based System is mostly developed with Relational Database technology. When business scales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a large number of various rule cases must be operated in system, and processing these rule cases requires additional time, overhead and storage space, and the speed of execution slows down.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simplification algorithm that converts a large amount of rule cases to simplification rule cases with same effects.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hypothetical business rule data and a large number of simplification experiments and tests are conducted. The final results proved that the number of rows can be reduced to some extent.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used to simplify business rule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the Rule-Based System implemented with the Relational Database
Author(s)
BAOWEI ZHENG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규칙 간소화 알고리즘 규칙케이스 간소화 시스템 규칙케이스 간소화 서브 시스템 규칙케이스 간소화 장치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6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902
Alternative Author(s)
정보위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정보공학과
Department
대학원 정보공학과
Advisor
여정모
Table Of Contents
1.서론 1
2.관련연구 5
2.1. 규칙엔진을 사용한 구현기법 5
2.1.1. 규칙엔진을 사용하여 구현된 규칙기반 시스템의 특성 및 구성 5
2.1.2.전 방향 추론 시스템 7
2.1.3.후 방향 추론 시스템 10
2.1.4.Rule Tree 12
2.2.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구현기법 14
2.2.1.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 규칙기반 시스템 14
2.2.2.Extended Multi Dimension 16
2.2.3.Rule Matrix 19
2.3.두 가지 규칙기반 시스템의 구현기법의 비교 22
3.규칙 간소화 알고리즘 24
3.1.규칙의 정형적인 표현 26
3.2.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용어정의 및 이론설명 27
3.2.1.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용어 27
3.2.2.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이론설명 29
3.3.규칙케이스 간소화 시스템 30
3.4.규칙케이스 간소화 서브시스템 33
3.5.규칙케이스 간소화 장치 34
3.6.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제안 34
3.7.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정리 39
3.8.알고리즘의 추론방법의 합리성 41
3.8.1.다른 상이팩터개수를 기준으로 수행방법의 합리성 41
3.8.2.Flag값이 0인 규칙케이스들을 제외시키는 수행방법의 합리성 44
4.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구현결과 48
4.1.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실험환경 48
4.2.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을 규칙 데이터에 적용효과 49
4.3.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51
4.4.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소 52
4.5.규칙 간소화 알고리즘을 적용이 가능한 영역 55
5.결론 57
6.참고문헌 60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 > 기타 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