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이해를 통한 가야사 교육방법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ducation method of GAYA history through understanding of culture : focus on earthenware
- Abstract
- 문화로 역사를 이해하게 하고자함은 배움이 삶과 연관되어야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역사를 되돌아보면 그 시대를 지배하고 대표하는 특성을 찾아낼 수가 있다. 그것은 정치사의 한 분야로만은 이해될 수 없으며, 특히 중학교 학생들은 보다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제시를 통해서야 비로소 역사를 상상하고 추체험할 수 있다.
이에 감성의 이해와 적용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의 방법을 활용하고, 그 시대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느끼고 비교하기 위해 그것의 결정체인 문화재를 활용하여 문화를 통한 역사 교육방법을 고안해보았다. 수업 구성을 위해서는 학생의 적극성을 토대로 하는 지식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과 아이즈너의 ‘표현적 목표’를 강조한 예술수업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이해 정도와 창의성을 표현하게 하기 위해서는 코넬식 노트법을 활용하고 소개하였다.
수업의 모형은 “토기로 알아보는 가야 문화”라는 주제로 첫째, 가야의 역사를 통하여 부산 지역과 연관된 향토사 수업을 겸함으로써 수도권 중심, 중앙집권 중심의 역사서술을 다르게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둘째, 가야를 대표하는 토기를 현재의 우리 삶 속에서 등장하는 그릇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보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삶과 비교하여 앎이 삶과 연관되도록 하고, 정치적으로는 뒤떨어졌지만 문화적으로 앞서갔던 가야 역사를 토기를 통하여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대의 가치관을 담은 토기를 디자인해보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과 표현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마련되고 내년부터 적용될 중학교 새 “역사”는 이제 사회 교과의 한 분야가 아니라 당당히 과목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더불어 교육계는 2010학년도의 교육목표로 창의․인성교육이라는 대명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다름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가운데 창의적 인간으로 양성하려는 현재의 교육목표와도 맥이 닿고 있다. 특히 새 교과서에서는 이전까지 생략되었던 문화 분야가 포함되어 있다. 이번 연구가 기반이 되어 보다 더 생생하고 재미있고 삶과 연결되는 역사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Author(s)
- 이정희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가야토기 교육방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69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949
- Alternative Author(s)
- Lee, Jeong He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 Advisor
- 조세현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가. 연구의 배경 1
나.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의 방법 5
Ⅱ. 문화 이해를 통한 역사교육 방법 개발 7
1. 문화 이해와 역사교육 7
가. 문화와 역사교육 8
나. 감성과 역사교육 14
다. 문화재, 역사적 상상력의 매개 16
2. 수업 이론 및 관점 18
가.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이론 18
나. 아이즈너(E. W. Eisner)의 예술수업 모형 23
다. 코넬식 노트필기법 활용 24
Ⅲ. 수업의 실제 "토기로 알아보는 가야문화" 28
1. 연구단원 설정 이유 28
가. 가야사를 주제삼은 이유 28
나. 토기를 주제삼은 이유 30
2. 수업의 실제 31
가. 도입 단계 32
나. 전개 단계 32
(1) 고마워 그릇! 네가 없었다면 33
(2) 토기의 발명과 제작 방법 알아보기 35
(3) 아하! 가야 토기, 신라 토기 39
(4) 선조들이 표현한 것, 지금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 47
다. 정리 49
Ⅳ.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6
부록 1 59
부록 2 71
부록 3 7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