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 신항만 건설에 따른 주변 해역 수질환경 특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Quality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Busan New-port
Abstract
본 논문은 부산 신항만 건설로 인한 해양환경 및 수질 변화를 알아보고, 그와 더불어 부산 신항 건설 과정에 따른 수질 환경 및 해수유동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대상해역인 부산 신항만과 낙동강 하구역은 인접한 천해역으로서 두 해역간의 상호관련성 및 환경변화패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덕도 (신항-낙동강 하구역)의 2002∼2009년까지 관측된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경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역분할도를 작성하고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각 해역 군집간의 상호 관련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산 신항만과 낙동강 하구역을 연결하는 유일한 소통구인 연결잔교에서의 해수유동 특성을 해수유동 수치모의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신항만과 낙동강 하구역의 상호 해수 유동 패턴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해역별 단면 유량 flux 수치모의를 결과에서는 신항건설 전후로 신항만 해역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량이 감소하고, 유출되는 해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낙동강 하구둑 방류조건에 따른 해역별 단면 유량 flux 수치모의를 통해 부산 신항만과 낙동강 하구역에서의 각 방류조건에 따른 오염물질의 거동 가능성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가덕수로 해역과 부산 신항만 해역, 낙동강 하구역 3개의 해역간의 해수이동 및 수질의 상호관련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해양환경 개발과 수질보전이 공존하는 두 해역의 환경변화패턴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Author(s)
김병수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부산신항 수질환경 Net-flux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71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969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산업공학협동과정
Advisor
윤한삼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2. 부산 신항과 수질환경 특성 5
2.1 부산 신항 개발 개 5
2.2 가덕도 주변해역의 수질 경년변화 9
2.3 해역 수괴별 수질 경년변화 14
2.3.1 부산 신항 건설전ּ 후 변화 특성 14
2.3.2 수질간 상관관계 21
2.4 부산 신항 및 낙동강 하구역 수질환경 특성 29
3. 신항 건설 과정과 수질환경 변화 수치모의 30
3.1 신항 건설전ּ 후 해수유동 수치 모의 30
3.1.1 해수유동 수치모형 개요 30
3.1.2 수치모의 경계조건 33
3.1.3 신항 건설전ּ 후의 해수유동장 37
3.2 신항 건설 전ㆍ후의 해역별 단면 유량 Net flux 40
3.3 낙동강 하구둑 방류와 따른 해역별 단면 유량 flux 43
3.3.1 실방류량 입력조건 산정 43
3.3.2 방류조건에 따른 해역별 단면 유량 Net-flux 46
3.3.3 해역별 수질환경의 변화 특성 49
4. 요약 및 결론 52
참고문헌 55
부 록 5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산업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