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산업 경영이양 활성화를 위한 수산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Cultivate A Fisheries Specialist for Revitalization of Management right Transfer
Abstract
In line with post-1970s industrialization, the manpower shortage in fishing villages has been fueled by rapid desertion;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have tended to avoid fishing by migrating to cities, driving the emergence of a national issue in terms of securing fisheries management succession. For the fisheries industry to maintain competitiveness, we need to cultivate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to be leaders of the domestic fishing industry through promoting inspiration for the fishing industry, teaching fisheries expert knowledge, and fostering the ability to promote business.
In addition to safe supply of marine products through continued fisheries operation, securing young and skilful workers is essential in order to promote balanc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including job creation. The study therefore seeks to provide measures to foster specialists in order to enable the transfer of management through an opinion survey of fishermen.
To cultivate specialists for enabling the transfer of management, the following solution should be promoted at the state level.
First, to support the introduction of young and talented workers to the fisheries industry through transfer of management, government support and improvement of essential system should be promote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tailored training program for fisheries to have competitiveness as an industry, and various support measures for young people to settle down in the industry.
Second, in order to enable the transfer of management, change is required first in the fisheries industry for it to become a value-added industry. Hence, practical management-related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zed, such as the expansion of professional training organization and education, continued retraining of existing fishermen, education related to development of new production technology and improvement of cultivation, information management technology, leisure education, law-related education, and education related to distribution for direct trading.
Third, despite fisheries being a composite industry that is syncretized to tertiary industries from primary industries, the fisheries industry is still recognized as a labor intensive industry, which reflects the current status of fisheries education. We need cutting-edge technology so that young and skilled workers can engage in the fisheries industry the vision in the field. For this, improvement is required in the education process to enhance field conformity of not only fisheries high schools, but also fisheries universities, and a change to introduce tailored-education systems.
Author(s)
홍기진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수산 경영이양 전문인력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74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3999
Alternative Author(s)
Ki-Jin, Ho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Advisor
김삼곤
Table Of Contents
차 례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5
1. 경영이양의 정의 5
가. 경영이양의 개념 5
나. 경영이양의 필요성 6
2. 수산업 인력의 실태 8
가. 연령구조 8
나. 성비 구조 9
3. 경영이양에 관한 선행 연구의 검토 9
가. 농업분야 경영이양 9
나. 외국의 경영이양 11

Ⅲ. 연구방법 13
1. 조사 대상 13
2. 조사 절차 13
3. 조사도구 및 자료 수집 14
4. 자료 분석 16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17
1. 조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17
2. 어업기반 확보 경로 19
가. 어업경영인의 어업기반 확보 경로 19
나. 연령대별 어업기반 확보 경로 20
다. 업종별 어업기반 확보 경로 22
3. 경영이양 후계자 확보 현황 23
가. 전체 어업경영인의 후계자 확보 현황 23
나. 연령별 경영이양 유형 선호도 26
다. 업종별 경영이양 유형 선호도 28
라. 경영이양에 대한 자녀의 선호도 30
4. 수산교육에 대한 선호도 31
가. 수산계 고등학교 및 대학에 대한 선호도 31
나. 연령별 수산계 고등학교 및 대학에 대한 선호도 32
다. 업종별 수산계 고등학교 및 대학에 대한 선호도 35
5. 수산교육 수준 및 유형에 대한 의견 37
가. 수산업 인력의 최소 교육 수준 37
나. 연령별 수산업 인력의 최소 교육 38
다. 업종별 수산업 인력의 최소 교육 40
6. 수산교육 및 훈련 유형에 대한 의견 41
가. 어선어업 분야 수산교육 및 훈련 유형에 대한 의견 41
나. 양식업 및 기타 분야 수산교육 및 훈련 유형에 대한 의견 45
7. 수산 교육·훈련 및 경영이양 관련 기타 의견 51
가. 현실에 맞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51
나. 청년 후계자 양성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 52
다. 수산업 경영난 해소를 위한 정부의 지원책 53
8. 시사점 53
가. 신규 어업 경영인 육성 제도 및 어업인 자녀 지원책의 필요성 53
나. 경영이양 촉진을 위한 직불제 지원사업의 필요 54
다. 구체적인 어업경영체 소득지원 사업의 필요성 54
라. 수산계 학교의 특성화 및 업종별 전문화 교육 필요 55
마. 수산업 분야의 비전 제시 및 첨단 기술화의 필요성 55
바. 기존 어업인의 인식 전환 및 다양한 재교육 실시 56

Ⅴ. 요약 및 결론 57
1. 요약 57
2. 결 론 59

참고문헌 60

부록 : 설문조사표 62

감사의 글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해양인적자원개발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