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영어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Proficiency of th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Math Content-Based Instruc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mprovign the English proficiency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Math Content-Based Instruction. Two classes from the same elementary school in Busan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one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the control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taught by Math Content-Based Instruction during discretionary activity time twice a week for 8 weeks for a total of 16 times. The control group followed the normal curriculum.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Math CBI which is design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andard Math curriculum as well as positively affecting the dependant variables measured in this study. The dependant variables are the positive changes observed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to the experimental group vs. control group. Students' communicative performance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understanding of Math and their affective aspects (English interest, English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were measur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ests administered to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re was som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udents' English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performanc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gains in their reading competence when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Math understanding and affective aspects were not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potential implications such as the use of Math Content-Based Instruction in improving the English proficiency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due to limitations imposed by the scale of this study, more data with a larger sample size would be needed.
Author(s)
장세용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어 내용중심 초등 수학과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7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003
Alternative Author(s)
Jang Se-Yo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매란
Table Of Contents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과제 3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1. 내용중심 통합교육 5
2. 내용중심 통합교육의 이론적 근거 6
3. 내용중심 통합지도의 유형 13
가. 몰입 모형 13
나. 내용 강화 초등 외국어 모형 14
다. 주제 중심 모형 14
라. 보호 모형 15
마. 부가 모형 16
4. 내용중심 통합교육의 효과 18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선정 21
2. 연구 기간 및 절차 22
3. 연구 설계 및 도구 24
가. 연구 설계 24
나. 연구 도구 25
(1) 정의적 영역 설문지 26
(2) 인지적 영역 검사지 27
(가) 말하기 능력 검사지 27
(나) 듣기 능력 검사지 27
(다) 읽기 능력 검사지 28
(라) 쓰기 능력 검사지 28
(마) 수학 성취도 검사지 28
4. 자료 분석 및 처리 방법 29
가. 정의적 영역 설문지 처리 방법 29
나. 인지적 영역 검사지 처리 방법 29
5. 연구 내용 29
가. 수학과 교수 학습 내용 29
나.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내용 재구성 30
다. 수학과 내용중심 영어수업 실행 과정 30
(1) 수학과 내용중심 수업 모형 31
(2) 수학과 내용중심 수업 지도안 32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1. 두 집단 간의 사전 검사 비교 34
가. 영어 의사소통 능력 사전 검사 분석 34
나. 수학 성취도 영역의 사전 검사 분석 36
다. 영어 정의적 영역 사전 검사 분석 37
2. 두 집단 간의 사후 검사 비교 38
가. 영어 의사소통 능력 사후 검사 분석 38
나. 수학 성취도 영역의 사후 검사 분석 40
다. 영어 정의적 영역 사후 검사 분석 41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44
가. 연구과제1에 대한 결론 44
나. 연구과제2에 대한 결론 45
다. 연구과제3에 대한 결론 45
2. 제언 46
참고 문헌48
부록5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