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스포츠브랜드 의류광고의 제품유형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type of sports brand clothes advertisement on the consumer's attitude : focusing on the control effect of celebrity endorsers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 제품유형(기능적 제품, 쾌락적 제품)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스포츠스타의 광고 출현의 유무에 따라 그 차이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부산광역시 B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피험자 120명을 각 광고유형에 대한 4개의 집단별 30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배경 5문항, 광고태도 3문항, 소비자태도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SPSS Ver. 12.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 연구방법,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스포츠스타의 유·무에 따라 스포츠 제품유형은 소비자태도에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1-1. 스포츠스타의 유·무가 기능적 제품의 광고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가설 1-2. 스포츠스타의 유·무가 기능적 제품의 브랜드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가설 1-3. 스포츠스타의 유·무가 쾌락적 제품의 광고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가설 1-4. 스포츠스타의 유·무가 쾌락적 제품의 브랜드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가설 2. 스포츠 제품유형은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2-1. 기능적 제품은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가설 2-2. 쾌락적 제품은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Author(s)
주상필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스포츠스타 광고모델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75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010
Alternative Author(s)
Ju, Sang phil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문선호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 모형 5
4. 연구 가설 6
5. 연구의 제한점 7
6.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1. 광고모델 10
2. 소비자태도 18
3. 광고효과 23

Ⅲ. 연구 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조사도구 27
3. 자료처리 33

Ⅳ. 연구 결과 34
1. 스포츠스타의 유·무에 따라 스포츠 제품 유형은 소비자태도에 차이 34
2. 스포츠 제품 유형은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차이 40

Ⅴ. 논의 43
1. 스포츠스타의 유·무에 따라 스포츠 제품 유형은 소비자태도에 차이 43
2. 스포츠 제품 유형은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차이 46

Ⅵ. 결론 및 제언 48
1. 결 론 48
2. 제 언 50

참고문헌 51
설문지 5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체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