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양식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무안측 체색의 비정상 발현 제어를 위한 환경생리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nviro-Physiological Studies on Malpigmentation Control of the Blind Side in Cultured
Abstract
5. 무안측 체색 비정상발현에 대한 수조바닥 형태 및 색상의 영향
넙치의 흑화 발현에 있어 사육수조 바닥형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일반 암녹색 1 ton FRP 수조로 사육한 무기질층구와 같은 종류의 수조에 소형자갈을 잠입성 기질로 제공하여 사육한 기질층구로 나누고, 전장 4.46±0.06 cm, 체중 0.77±0.03 g의 치어를 사용하여 120일간 실시하였다. 성장과 생존율은 실험구별 차이가 없었고, DFI는 무기질층구에서, FE는 기질층구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흑화 면적률 및 개체비율이 무기질층구에 비해 기질층구에서 매우 낮았는데, 이는 사육 시 소형자갈을 이용한 잠입성 기질의 제공이 흑화를 억제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2차 실험에서는 1차 실험에서 수조바닥에 제공한 소형자갈의 흑화 억제효과가 단순히 무안측 표피에 물리적 자극를 주어 나타난 영향인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흑화가 없는 양성어(전장 30.5±0.2 cm, 체중 285±3.5 g)를 바닥이 편평한 일반 암녹색 FRP 수조(편평바닥구), 바닥에 돌기형 메트를 제공한 수조(돌출바닥구), 그리고 소형자갈을 제공한 수조(자갈바닥구)의 세 실험구에서 90일간 사육하였다. DFI, FE, 생존 및 성장은 실험구별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종료 시 흑화 면적률 및 개체비율은 편평바닥구, 돌출바닥구, 자갈바닥구 순서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낸 결과로 볼 때, 흑화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수조바닥에 잠입성 지질을 제공하는 것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자갈 제공에 의한 흑화 억제 효과는 무안측 표피신경계 자극에 의한 것이기 보다는 이들의 은폐 습성을 영위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다음은 넙치의 흑화 발현에 있어 사육수조 바닥색상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흑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자갈기질에서 자갈색상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위해, 흑화가 없는 치어(체장 6.5-6.6 cm, 체중 2.55-2.67 g)를 사용하여 90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구는 암녹색 1ton FRP수조를 사용하였고, 실험구는 dark-green bottom(DGB)구, 황색 소형자갈을 깔아준 yellow gravel substratum(YGS)구, 흰색 소형자갈을 깔아준 white gravel substratum(WGS)구, 검정색 소형자갈을 깔아준 black gravel substratum(BGS)구로 설정하였다. 비록 DGB구의 섭식량이 자갈기질구들보다 높았지만, 성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 흑화 면적률 및 개체비율은 모든 자갈기질구들에서 DGB구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자갈기질구들 사이에서는 밝은 색의 자갈을 제공한 YGS, WGS구에서 어두운색 자갈을 제공한 BGS구보다 약간 낮은 착색률을 보였다. 이번 결과로 잠입기질의 색깔이 흑화 발현 정도에 일부 관여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지만, 바닥형태의 영향 실험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기질 색깔보다는 잠입성 기질 자체의 제공 여부가 흑화 제어에 더 중요하다는 부분을 다시 확인하였다. 2차 실험에서는 사육 시 배경색상의 밝기가 흑화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장 4.46±0.06 cm, 체중 0.77±0.03 g의 치어를 사용하여 120일간 실시하였다. 1톤 FRP 수조를 이용하였고, 실험구는 암녹색 수조를 이용한 녹색구와 흰색 수조를 이용한 흰색구로 설정하였다. 비록 생존율 및 사료효율은 실험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DFI와 성장은 흰색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흑화 면적률 및 개체비율은 60일까지 흰색수조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 이후 성장과 함께 두 실험구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밝은 배경색상이 넙치 치어의 식욕과 성장을 촉진시키며 또한 사육밀도가 낮을 경우 흑화 발현 억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성장과 함께 사육밀도가 증가하거나 고밀도 사육 시 그 효과는 소실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uthor(s)
김효찬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무안측 체색 비정상발현 제어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7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022
Alternative Author(s)
Kim, Hyo Ch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Advisor
장영진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Ⅰ. 서 론 1

Ⅱ. 발육단계별 무안측 체색 비정상발현의 변화 3
1. 서 설 3
2. 재료 및 방법 7
2-1. 실험어 및 사육 7
2-2. 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7
2-3. 통계처리 8
3. 결 과 9
3-1. 형태학적 특성 및 성장 9
3-2. 무안측 체색 비정상발현의 변화 14
4. 고 찰 20

Ⅲ. 무안측 체색 정상/비정상발현 개체의 생리생화학적 비교 23
1. 서 설 23
2. 재료 및 방법 25
2-1. 실험어와 실험군 25
2-2. 분석항목 및 분석법 25
2-3. 통계처리 29
3. 결 과 30
3-1. 혈중 글루코스 및 총단백질 농도 30
3-2. 혈중 코티졸 및 갑상선호르몬 농도 30
3-3. 어육의 성분조성 비율 30
4. 고 찰 34

Ⅳ. 무안측 체색 비정상발현에 대한 prepro-MCH의 관련성 39
1. 서 설 39
2. 재료 및 방법 41
2-1. prepro-MCH cDNA sequencing 41
2-2. 계통발생학적 분석 44
2-3. mRNA 조직분포 44
2-4. mRNA 발현 45
2-5. 통계처리 49
3. 결 과 50
3-1. prepro-MCH cDNA sequencing 50
3-2. 유전자 구조 및 계통발생학적 비교 50
3-3. prepro-MCH mRNA 조직분포 51
3-4. 정상/비정상발현 개체의 prepro-MCH mRNA 발현 비 교 51
4. 고 찰 57

Ⅴ. 무안측 체색 비정상발현에 대한 사육밀도의 영향 62
1. 서 설 62
2. 재료 및 방법 64
2-1. 실험구 및 실험어 64
2-2. 사육조건 및 사료공급 64
2-3. 측정항목 64
2-4. 통계처리 65
3. 결 과 66
3-1. 섭식량 및 사료효율 66
3-2. 성장 및 생존율 66
3-3. 착색개체 비율 및 착색률 69
4. 고 찰 72

Ⅵ. 무안측 체색 비정상발현에 대한 수조바닥 형태 및 색상의 영향 75
1. 서 설 75
2. 재료 및 방법 77
2-1. 바닥기질 77
2-2. 실험어, 실험구 및 사육조건 77
2-2-1. 바닥기질의 형태 77
2-2-2. 수조바닥의 색상 83
2-3. 측정항목 87
2-4. 통계처리 89
3. 결 과 90
3-1. 수조바닥 형태의 영향 90
3-1-1. 1차 실험 90
3-1-2. 2차 실험 97
3-2. 수조바닥 색상의 영향 100
3-2-1. 1차 실험 100
3-2-2. 2차 실험 111
4. 고 찰 118

Ⅶ. 종합고찰 126
Ⅷ. 요 약 130
감사의 글 135
참고문헌 137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