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트 트레이닝 후 회복방법의 형태가 면역globulin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n an immuneglobulin and anti-oxidizing enzyme arising from the variety of cooldown after workout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고강도의 웨이트 트레이닝 후 걷기와 스트레칭 및 정적 휴식을 각각 취하여 항산화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 CAT(catalase)와 조직손상지표인 MDA(Malon-dialde-hyde) 및 면역 Glibluin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항산화 방어기전에 어떠한 방법의 정리운동이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인들의 고강도 운동 후 나타날 수 있는 산화적 손상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대 남성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웨이트트레이닝 후 회복방법에 따라 걷기집단 8명, 스트레칭집단 8명, 정적 휴식집단 8명으로 구분하여 12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면역 globulin은 IgA, IgG, IgM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효소는 SOD, CAT, MDA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7.0 Program을 사용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IgA는 걷기집단과 스트레칭집단에서 두 집단 모두 운동전과 정리운동 후, 운동 후와 정리운동 후 유의차가 나타났지만,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IgG와 IgM은 걷기집단에서 운동전과 정리운동 후, 운동 후와 정리운동 후 유의차가 나타났지만 집단간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AT는 스트레칭집단과 걷기집단에서 운동전과 정리운동 후, 운동 후와 정리운동 후 유의차가 나타났지만, 집단간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MDA는 걷기집단에서 운동전과 정리운동 후, 운동 후와 정리운동 후 유의차가 나타났고, 집단간에는 정리운동 후 스트레칭집단과 걷기집단이 안정집단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SOD는 걷기집단에서 유의차가 나타났으며(p< .05), 운동전과 정리운동 후, 운동 후와 정리운동 후 유의차가 나타났지만, 집단간에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웨이트트레이닝 후 안정을 취하는 휴식보다는 걷기나 스트레칭을 실시하는 활동성 휴식이 면역기능과 항산화 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걷기를 실시하는 방법이 스트레칭에 비하여 면역기능과 항산화 기능 증가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prepare effective countermeasure such as walking, stretching and static rest for a survey of a man in his twenties in response to oxidative damages after high level of weight training, due largely to finding the most effective cool-down exercise in a way of sensing changes in level of anti-oxidation enzyme, SOD, CAT and tissue damaged measure, MDA and immunity Glibluin.
The target of this research consist of 24 males in their twenties, and divided into 3 groups in a way of recover form ; running, stretching and static resting. It lasted for 12 weeks and measured the immunity Glibluin such as lgA, lgG, lgM and anti-oxidation enzyme such as SOD, CAT, MDA.
Processing was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by SPSS 17.0Program, significance level was p< .05.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IgA was seem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alking and stretching group in before-after workout but wasn't among the whole groups.
IgG and IgM were seem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fore-after workout but weren't among the whole groups.
CAT was seem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alking and stretching group in before-after workout but wasn't among the whole groups.
MDA was seem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lking group in before-after workout, and cool-down and walking and stretching group seemed a lower figure than static resting group.
SOD was seem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lking group in before-after workout, and cool-down, but wasn't among the whole groups.
As the final outcome, active rest such as walking and stretching shows more positive change for immunity, anti-oxidation function, than static rest especially walking is the most effrective way to improve immunity, anti-oxidation function.
- Author(s)
- 장병호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웨이트 트레이닝 회복방법 면역 글로블린 항산화 효소 정리운동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78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04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체육학과
- Advisor
- 신군수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문제 3
4. 연구의 제한점 4
5. 약어 및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웨이트 트레이닝의 특징 6
2. 회복방법 7
3. 회복방법과 면역globulin 8
4. 회복방법과 항산화효소 12
Ⅲ.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16
2. 측정도구 16
3. 측정항목의 선정 17
4. 측정방법 17
5. 실험계획 및 방법 19
6. 자료처리 23
Ⅳ. 연구결과 24
1. 면역globulin 24
2. 항산화효소 30
Ⅴ. 논의 36
1. 면역globulin 36
2. 항산화효소 40
Ⅵ. 결 론 45
참고문헌 4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체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