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이언진의 사행 한시에 나타난 일본인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 문 초 록


이언진(1740-1766)은 1763년 계미사행에 참여한 역관이자 시인이다. 그는 역관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이 중국 등 외국의 문물을 접하면서 국제적 안목을 기를 수 있었다. 19세 역과에 합격하여 중국을 두 번 연행하고 일본을 다녀왔지만 일본에서 얻은 풍토병으로 귀국 후 2년 만에 요절하고 만다. 이언진은 사대부 문인 이용휴에게 수학하면서 사상적 문학적 영향을 받으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문학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는 사행 경험을 통해 그의 일본 인식과 문학관을 사행 한시로 나타내었다. 이언진의 사행 한시는 조선 사회에서 그의 존재감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 작품에 나타난 그의 일본 인식은 소중화적 화이관에서 벗어나 일본에 대한 열린 자세와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며 조선 사회가 나아가야 할 현실적인 대일 외교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언진의 사행 한시는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세부 묘사로 일본에 대한 사실적 기록과 그의 감상적 측면이 동시에 나타난다. 조선의 문예 부흥기에 조선을 둘러싼 국제 정세에 대해 이언진이 보여준 일본 인식은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고 그의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데 큰 몫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행 한시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일본의 문화 ․ 종교 ․ 사회적 측면에서 작가 인식이 뚜렷한 을 중심으로 이언진의 일본 인식을 살펴보았다. 형식, 표현, 그리고 내용의 특징을 살피고 이언진의 문화적 우월 인식, 종교적 華夷 인식, 그리고 사회 전반의 현실을 인식하는 이언진의 긍정적인 일본 인식을 밝혀 보았다. 18세기 조선의 소중화적 흐름 속에서 전진적인 그의 일본 인식은 19세기 개항하는 조선의 대일 인식을 보여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핵심어 : 일본 인식, 계미사행, 사행 한시, 소중화, 華夷, 긍정적
Author(s)
윤경옥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일본 인식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80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05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고순희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
2. 연구사 검토 ………………………………………………… 7

Ⅱ. 계미사행과 사행 한시 …………………………………… 12
1. 이언진과 계미사행……………………………………… 12
2. 사행 한시의 특징 ……………………………………… 23

Ⅲ. 의 일본 인식34
1. 문화적 우월 인식 : …………………………… 34
2. 종교적 華夷 인식 : ………… 42
3. 사회적 현실 인식 : …………………………… 51

Ⅳ. 문학사적 의의 …………………………………………… 71

Ⅴ. 결론 ……………………………………………………… 80

참고문헌……………………………………………………… 83
영문초록……………………………………………………… 8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