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전통과 현대의 대립적 시각에서 바라본 거리시설물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Street Furniture Design from the contradictory point of view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Abstract
도시 디자인이나 거리 디자인을 계획할 때 우리는 보통 전통과 현대의 대립적인 시각과 마주하게 된다. 그 도시 또는 거리가 가진 고유의 전통 문화를 담아낼 것인지 현대적이고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할 것인지 하는 것이다. 경주 중심상가의 경우, 전통과 현대라는 대립적인 의견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런 경우, 디자인계획을 할 때에 둘 중 한 가지 의견만을 반영한다는 것은 오히려 갈등을 부추기기만 할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새롭게 조성되어진 봉황로의 거리시설물과 관련 프로젝트에서 진행한 아동복 거리, 가구 거리 디자인안을 사례로 전통과 현대의 디자인을 어떻게 조화시켰는지 조사해 보았다. 세 개의 거리 모두 컨셉은 경주가 가진 혹은 그 거리가 가진 전통과 문화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며 거리시설물의 형태·재료·색에 있어서 그 차이를 두고 있었다. 전통적인 형태, 재료, 색을 많이 사용한 봉황로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격조있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었으며, 현대적인 형태, 재료, 색을 많이 사용한 아동복 거리, 가구 거리는 심플하고 클리어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었다. 이처럼 전통과 현대를 조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그 컨셉은 전통에 기반을 두고 그 표현에 있어서는 전통과 현대의 분위기를 차별성 있게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앞으로는 거리 시설물에 있어서 전통의 현대적인 표현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Author(s)
임현정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81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076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유상욱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2-1. 연구의 범위 3
2-2. 연구의 방법 4
3. 사전연구 5
3-1. 프로젝트 소개 5
3-2. 의견의 대립 6
3-2-1. 관(官) 및 관련전문가 6
3-2-2. 경주 중심상가 관련 단체 및 상인 7
3-2-3. 경주시민 9
Ⅱ. 연구대상지 고찰
1. 경주의 현황 14
1-1. 기본현황 14
1-2. 문화재 관련 현황 17
2. 경주 중심상가 24
2-1. 경주 중심상가 현황 24
2-2. 경주 중심상가 거리시설물 현황 28
2-2-1. 봉황로 28
2-2-2. 동성로(일부) 32
2-2-3. 그 외 중심상가 거리시설물 35
Ⅲ. 디자인 고찰
1. 프로젝트 디자인안 고찰 45
1-1. 아동복 거리 47
1-2. 가구 거리 57
2. 전통적/현대적 디자인에 대한 고찰 66
3. 거리시설물 디자인 분석 73
3-1. 봉황로 73
3-2. 아동복 거리 76
3-3. 가구 거리 78
Ⅳ. 결론 8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