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권 강화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근대가 국가의 민주주의와 권력분립의 시대였다면, 현대는 국가와 지방간의 분권화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지방분권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중앙집권적 구조는 국가 간의 경쟁에서 이미 그 한계가 나타나고 있어 다양한 스펙트럼의 경쟁력을 가진 지방분권적 국가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지방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위를 지역의 통치단체로 인정하고, 자치권의 핵심인 조례제정권의 범위를 확대시킴으로써 자치권을 규범적으로 보장해주는데 있다.
지방자치제도는 지역중심의 지방자치단체가 그 지역 내의 공공과제를 자기의 자치기구를 통하여 스스로의 책임 아래 처리함으로써 민주정치와 권력분립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이다. 지방자치제는 전국적 차원의 민주화를 지역적으로 실현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심화시키고, 국가와 지방간의 권력분립을 통하여 권력과 국민간의 거리를 좁히고 보다 다양한 국민의 의사를 자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제도이다.
조례제정권은 지방자치단체가 자신의 사무를 자신의 책임 아래 일정한 규율을 정하여 정립할 수 있는 입법권능을 말하며, 지방자치의 핵심적 요소인 자기결정권의 규범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조례는 헌법의 수권에 의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자주적으로 제정하는 자주법으로서, 새로운 법규범을 창조하고, 법률의 제정을 선도하며, 법률을 보완하여 주민생활권을 보장하고 실현하는 기능을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국가는 아니고 국가의 한부분이지만 국가와는 독립된 공법인으로서 수직적 권력분립을 통하여 자기 지역 내의 주민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국가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지역의 통치단체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의 하부행정기관으로 오인될 수 있는 규범 사항은 개선되어야 한다.
헌법에서는 지방행정에 관한 권한 만이 아니라 자치입법권을 포함한 지역의 포괄적 권한을 수권하였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조례는 하부행정기관의 행정입법적 성격을 가진 규범이 아니라 지역의 자주법이므로 조례제정권을 제한하는 지방자치법 제22조의 단서는 폐지되어야 한다. 조례에 의한 벌칙제정권 및 재산권 행사의 제한이 가능할 수 있어야 하고, 자주재정권 확충을 위한 지방세 조례주의도 인정되어야 한다. 또한 조례제정권의 사항적 범위를 제약하는 위임사무의 폐지와 자치사무에 관한 법령의 개입도 축소되어야 한다. 지역의 이익을 중앙에 요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인 지역대표로 구성되는 의회를 도입하는 양원제를 실시하여 정책결정과정에서부터 지역의 이익이 보장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21세기가 국제화, 분권화의 시대라는 것은 국제경쟁력이 국가를 중심으로 한 시대가 아니라는 반증이다. 분권화를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경쟁력으로 국가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계가 명령ㆍ종속적 관계가 아니라 대등ㆍ협력의 관계로 전환되기 위해서 먼저 법제도적인 정비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Author(s)
김성수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83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091
Department
대학원 법학과
Advisor
배영길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제2장 지방자치와 권력분립 5
제1절 지방자치의 관념 및 기초 6
1. 지방자치의 개념과 유형 6
2. 지방자치의 헌법원리 11
3. 지방자치의 본질 22
4. 자치권의 내용 33

제2절 수직적 권력분립과 수평적 권력분립 38
1. 단일국가의 연방주의 요소 도입 38
2. 수평적 권력분립 39
3. 수직적 권력분립 41

제3절 지방자치단체와 수직적 권력분립 44
1.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44
2.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권 53
3. 수직적 권력분립과 조례제정권 58
제3장 각 국의 지방자치제도와 조례제정권 68
제1절 연방국가 69

1. 독일의 지방자치제도 69
2. 미국의 지방자치제도 79

제2절 단일국가 90
1. 프랑스의 지방자치제도 90
2. 일본의 지방자치제도 99

제4장 조례제정권의 범위와 한계 108
제1절 조례제정권의 범위 108
1. 지방자치단체의 사무권한에 대한 헌법상 원칙 108
2. 사무구분론체계 111
3.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의 종류 113

제2절 조례제정권의 한계 122
1. 헌법상의 한계 123
2. 법령과의 관계 129

제5장 조례제정권의 강화 및 통제 142
제1절 조례제정권의 강화 방안 142
1. 수직적 권력배분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법적지위 강화 142
2. 법률유보원칙과의 관계 143
3. 조례제정권 범위의 확대 154
4. 입법과정상 지방자치단체의 참여확대 160

제2절 조례제정권의 통제 165
1. 자치단체의 내부통제 165
2. 국가기관에 의한 외부통제 171

제6장 결 론 177

참 고 문 헌 180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법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